면역항암제 급여 “패러다임 시프트 절실”
대한암학회 학술대회 특별세션 ...경제성평가 탄력 적용
국내에서도 면역항암제의 사용이 점차 늘어가는 가운데 이에 대한 건강보험 등재 방식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암학회 제42차 학술대회에서는 특별세션으로 ‘면역항암제 국내 도입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 세미나가 개최됐다.
면역항암제는 기존 항암제에 비해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는 만큼 학계에서의 관심도 더욱 커지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 환자에게는 그만큼 재정 부담이 크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따라서 면역항암제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보험에 등재해야 한다는 데에는 공감대가 형성됐는데, 이 자리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통해 보험에 등재할 것인지 논의한 것이다.
이에 대해 대한암학회 학술이사인 김열홍 교수(고대안암병원)는 획기적인 치료제를 보험에 등재하는 데에는 기존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의약품이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기존의 약물 중 비교대상약제를 정하고 그 약물과의 비용효과성을 따져야 하는데, 획기적 치료제의 경우 기존 치료제와 비교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김열홍 교수는 “보험재정도 아끼면서 환자의 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탄력적인 제도가 돼야 한다”면서 “과거 제도를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되지 않나 생각한다. 급여정책도 패러다임 시프트가 필요한 때가 왔다”고 말했다.
성균관대학교 이의경 교수도 이와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면역항암제의 적정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현재의 경제성평가는 효과 대비 비용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부작용 및 내성적 측면의 장점이 비용효용분석에서 일부 반영된다.
하지만 질병에 따라 환자는 효과보다 부작용이나 내성이 발생하지 않는 쪽을 더 선호하기도 해 환자 중심의 다양한 측면의 가치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완치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가치를 고려해야 하고, 면역항암제의 반응성은 환자에 따라 차이를 보여 근거의 불확실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만큼 위험분담제를 적용하되 추가 적응증에 따른 급여 확대 정책을 검토하는 등 환자의 접근성 확대라는 측면에서 탄력적인 운용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정숙 실장은 면역항암제의 등재에 있어 대상 적응증이 확대되는 부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면역항암제 특성상 여러 암종에 대해 추가적인 적응증 확대가 가능한데, 면역항암제가 고가인 만큼 이를 고려했을 때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조 실장은 “일부 약제에 대해 위험분담제로 신청됐다. 이 경우 등재 이후 일정기간 경과 후 재평가하게 되는데, 급여 확대가 불가능하지만 하반기에는 급여 확대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라면서 “제약사에 위험분담제를 강제할 수는 없지만, 제약사에서 신청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제도 초기인 점 등을 감안하더라도 면역항암제에 대한 등재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아울러 “급여적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현행기준에 따라 공정, 신속한 평가가 필요하다”면서 “중요 쟁점사항에 대해서는 관련학회 등 의견수렴을 통해 조심스럽게 빨리 런칭해서 급여를 확대하고 자료가 쌓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