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미세먼지 대처 옥시 불매운동 침묵
국민 건강권 보호 서로 다른 입장...이중 태도 비판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가 최근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건에 대해서는 여전히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어 의협의 이중태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의협은 최근 성명서를 통해 "정부가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기로 한 것을 환영한다"며 “대기 중 미세먼지와 미세먼지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저감 및 깨끗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하여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협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국가 간 이동에 대해 주변국 전문가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외교적 노력을 통해 지역 단위의 실효성 있는 협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달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의협은 “정부는 기업 등 민간부문의 미세먼지 저감과 관련된 기술·정보의 상호교류를 촉진해 환경산업·기술의 발전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완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업계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는 대조적으로 의협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습기 살균제 사태의 최대 가해기업 ‘옥시레킷벤키저’의 제품 불매운동에 대해서는 여전히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의협은 현재 검찰조사가 진행 중이고 정치권에서도 청문회 구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들에게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에 별다른 입장표명 없이 조용히 문제가 잘 해결되길 바란다는 입장이다.
의협 김주현 대변인은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인한 피해자들의 고통은 정말로 안타깝고 하루 빨리 피해자 보상을 비롯해 문제가 잘 해결되길 의협에서도 바라고 있다”며 “다만 현재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섣부른 입장 표명은 오히려 국민들의 오해를 살 수 있는 만큼 신중히 사태를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의협의 태도에 대해 의료계 일각에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의협의 이 같은 주장은 현재 담배소송이 진행 중인 담뱃갑 경고 그림의 위치에 대해서는 발 빠르게 입장을 밝힌 것을 보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
또 일각에서는 의협이 지난 2004년 옥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전례가 있었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사스, 신종플루 등 신종전염병이 유행하던 당시 의협은 손씻기 캠페인 차원에서 옥시 제품에 의협 인증마크를 사용하도록 했고 옥시는 9년 동안 의협에 약 18억 원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 협약은 지난 2013년 8월 한국소비자원이 옥시제품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깨지고 만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국민 건강권 보호 차원에서 의협은 모든 사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입장을 밝히고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며 “너무 신중하면 오해와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