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러간, 자궁근종 치료제 임상 3상 성공
최초의 비침습성 장기 해당...내년 승인 신청
엘러간과 게데온 리히터(Gedeon Richter)는 자궁유섬유종(자궁근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ulipristal acetate)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 중인 임상 3상 시험 2건 중에 Venus I 임상시험에서 나온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임상시험에는 157명의 환자들이 참가했으며 101명은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 나머지 56명은 위약군으로 배정됐다. 시험 결과 모든 공동 일차종료점과 이차종료점 면에서 울리프리스탈이 위약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 일차종료점은 자궁출혈이 없는 환자의 비율과 자궁출혈이 없었던 시간이었다. 올리프리스탈 10mg 치료군에서는 58.3%, 5mg 치료군에서는 47.2%의 환자들이 출혈을 경험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위약군에서 출혈이 없었던 환자비율은 1.8%였다.
엘러간의 데이비드 니콜슨 부회장은 “임상시험에서 증명된 긍정적인 효능 및 안전성 결과를 환영하고 있다”고 밝히며 “울리프리스탈 에스테이트는 미국에서 자궁절제술의 주된 원인인 자궁유섬유종을 앓고 있는 여성들에게 최초의 비침습성 장기적 치료대안이 될 잠재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임상시험의 이차종료점은 치료 11일째 이후로 치료 종료 시점까지 자궁출혈이 없었던 환자의 비율과 치료 종료 시점의 UFS-QOL 검사결과였다. 울리프리스탈 치료군은 모든 이차종료점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울리프리스탈 치료군에서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으며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고혈압, 혈중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증가, 안면홍조, 여드름 등이 보고됐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두 번째 임상시험인 Venus II 연구는 올해 안에 완료돼 내년 상반기 안에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두 회사는 이 약물을 미국에서 자궁유섬유종에 대한 치료제로 승인받기 위한 신청서를 내년에 제출할 계획이다.
시장분석가들은 이 약물이 2018년에 출시돼 2029년에 특허권이 만료될 때까지 최고 5억~10억 달러의 연매출액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유럽에서 울리프리스탈 에스테이트는 게데온 리히터가 에스미야(Esmya)라는 제품명으로 승인 받아 가임연령 여성의 중등도 및 중증 자궁근종 증상에 대한 수술 전 치료 및 간헐적 치료 용도로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