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이 중국 메르스 진료지침에 주목한 이유는?
한·양방 병행치료 강조..."우리나라도 나서야"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는 지난 11일, 중국의 국가 위생 및 계획생육위원회(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에 해당)가 중국 내에서 메르스 환자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위한 ‘2015년 메르스 진료지침’을 발표했다고 전해왔다.
국내 상황과는 달리 한양방 병행치료를 국가 공식 진료지침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것이 한의협의 설명이다.
협회측에 따르면, ‘2014년 메르스 진료 지침’을 수정 보완한 이번 지침에는 WHO가 발표한 메르스 발생상황과 각종 문헌보고를 참고해 메르스 환자들의 병증에 따른 증세가 새롭게 정리되고, 그에 맞춰 처방도 수정됐다. 또한 추천 중성약(중약 주사제 포함) 부분도 수정·추가됐다.
중국의 경우 지난 2002년 사스를 통해 한․양방 병행치료의 효과를 실감한 바 있다. 중국 광둥성에서 사스가 처음 발병한 이후 광둥성에서의 적극적인 한·양방 병행치료를 통해 3.7%라는 평균 대비 낮은 사망률을 기록했다는 것.
이에 비해 광둥성을 제외한 북경 등 다른 지역에서는 사스 발병 초기 양방중심의 치료를 통해 사망률이 높아졌고 광둥성의 예를 참고해 다시 한·양방 병행치료를 시행하며 사스 환자를 관리, 중국 전체를 보았을 때 6.6%의 사망률을 보인 바 있다고 한의협은 설명했다.
이에 비해 홍콩의 경우 사망자수가 100명이 넘어서야 한·양방 병행치료를 실시, 환자 관리에 실패하며 17%가 넘는 사망률을 기록했다는 것이 한의협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한의협은 "‘중의와 서의(양의) 병행치료 지침’을 발표한 중국 정부의 사례처럼 우리나라도 메르스 확산을 막고 확진환자의 적극적인 치료를 위해 하루빨리 한·양방 병행치료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6월 17일 현재,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가 20명에 달하며, 최근에는 지금까지 알려진 메르스의 양태와는 달리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거나, 비교적 젊은 연령대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국민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메르스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요즘,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메르스 환자 치료에 나서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의협은 최근 ‘메르스 확진환자 격리치료 병원에 한의의료진을 배치하고 한의약 치료를 병행’하는 내용의 공식 제안서를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를 비롯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국회 등에 제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 이에 대한 정부당국의 답변이나 조치는 없다고 한의협측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