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연구의사회 "비만, 21세기 신종 전염병"

춘계학술대회 개최...노화방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 주목

2015-03-09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WHO에서도 ‘비만은 21세기 신종전염병’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옆구리 군살이나 빼는 미용다이어트 정도로 왜곡된 인식이 많다.”

대한비만연구의사회(회장 김민정)는 지난 8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비만정보박람회를 표방한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비만, 체형, 피부, 줄기세포치료의 현재를 포함한 노화 방지 등을 아우르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준비했다는 후문이다.

김민정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에는 크게 4개의 방으로 구성됐다고 밝혔다.

▲ 김민정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회장은 “3월에는 새로 시작하는 선생님들이 많다고 생각돼 ‘초짜방’이라는 재미있는 이름으로 시작부터 남다른 병원 개원을 할 수 있도록 튼튼한 기본을 익히기 위한, 개업에 필요한 필수 강의를 중심으로 한 강좌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다른 강좌에서는 이미 병원은 하고 있지만 한 걸음 도약을 꿈꾸는 원장들을 위한 ‘갑병원 만들기’의 주제로 Master 코스를 구성해 2015년 최신 아이템과 함께 기존 시술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한 강좌를 준비했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특히 그는 “비만 치료는 올해 2월 미국 FDA 승인을 받은 벨빅이 우리나라에서도 시판됐다” 며 “벨빅이 향정으로 분류되긴 했지만 안전성 검증 받았기 때문에 비만 시장 활성화에 도움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작년에 승인 난 컨트라브 관련해서도 강의를 준비해 비만 치료가 더욱 활기를 띌 것”이라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또한 김 회장은 “병원을 경영하는데 있어 직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개원의들의 현실이 직원교육까지 하기 힘들다”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직원 코디네이터 교육을 마련했는데 150명 정도 참여했다”고 전했다.

비만연구의사회에서는 이번에 소외계층의 비만치료에 대해 관심을 갖고 사회공헌사업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김민정 회장은 “소외계층 비만 치료를 많이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30명을 대상으로 하려고 하는데 의사들의 재능기부로 작은 씨앗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병원 문턱은 낮지만 저소득층의 비만 치료는 문턱이 높다”며 “급여는 조금 어렵지만 NIP처럼 특별예산을 받아서 소외계층을 위한 비만치료 방법을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전했다.

작년부터 비만연구의사회, 한국의료지원재단, 드림파마가 종고해 소외계층 환자들에게 6개월동안 약물과 검사를 무료로 지원해 비만연구회원들이 1대1 주치의가 돼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이다.

또 “학회에서는 비만이 질병임을 알리는 대국민홍보, 소외계층 비만무료진료 1:1 주치의 맺기 사업, 1년에 1명 베리아트릭 서저리를 지원하려고 한다”며 “아쉽게도 저소득층에서의 비만 증가율이 훨씬 더 빠름에도 불구하고 아직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사회와 생상하고 소통을 하는 나눔의 학회가 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민정 회장은 “WHO에서도 ‘비만은 치료 해야하는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고, ‘21세기 신종 전염병’이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하지만 비만하면 옆구리 군살이나 빼는 미용다이어트 정도로 왜곡된 인식이 많아 안타깝다”며 “현재 우리나라 32.8%가 비만환자이며 이는 당뇨,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의 원인질환이 되는 꼭 치료해야하는 질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