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혈소판 채혈 '병원이익확대'

2004-10-11     의약뉴스
농축혈소판 채혈로 인한 병원이익이 확대되는 등 현 혈액채혈체계 개선을 통한 문제해결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노동당 현애자 의원은 11일 열린 적십자사 국정감사에서 그동안 농축혈소판 채혈을 주로 해오는 등 혈액 공급 책임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강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 의원에 따르면 농축혈소판 채혈시 병원에서 백혈구 필터링과 자외선 조사를 통한 백혈구 제거에 대한 수가를 1봉지당 5천원씩 환자에게 청구하고 있어 혈소판 채혈을 선호한다는 것.

이에 따라 현 의원은 "전체 헌혈량(2003년 2백53만5,343건) 중 10%만 성분채집혈소판으로 확보해도 문제가 해결된다"며 "혈액원 혈소판 채혈에 예산을 지급함으로써 혈소판성분헌혈 확대와 비율제를 도입해 적십자혈액원의 혈소판 사용의무를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혈액원이나 병원에 헌혈 공여자 모집 의무규정을 두고 공여자 모집은 금지해야 한다"며 "혈소판성분 헌혈자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강구,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적십자 관계자는 "헌혈자 확보가 어렵고 장비설치장소가 한계가 있어 혈소판 채집을 넓히려면 장비 등 확보해야 한다"며 "적십자는 병원의 수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한 적이 없다"고 부정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