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재동기화 치료기, 임상적·경제적 가치 높다
메드트로닉, 미 심장학회서 관련 연구결과 발표
심부전 환자 치료를 위한 심장 재동기화 치료(CRT)의 임상적, 경제적 가치가 높다는 분석 자료가 미국 심장학회를 통해 발표됐다.
메드트로닉은 지난달 미국 시카고에서 진행된 미국 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과학 세션을 통해 심부전 치료를 위한 심장 재동기화 치료기기(CRT)의 임상적, 경제적 가치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연구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3일 전해왔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연구를 통해 심부전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들에 있어 이후 30일간 발생한 재입원 건수 등에서 CRT가 재입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기에 CRT를 이식한 환자일수록 수명이 길었으며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치료를 위한 비용을 덜 소모했다.
아틀란틱 헬스 시스템 심혈관 센터장인 린다 길럼(Linda Gillam) 박사는 “심부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는 보건 의료에 있어 그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추세”라면서 “이번 경제성 평가 결과를 통해 환자 건강은 물론 병원 재정과 의료 시스템 비용 전반에 있어 CRT가 가지는 장점이 재확인됐다”고 말했다.
전세계적으로 연간 1백만명이 심부전으로 입원하며, 이 가운데 25%는 30일 이내에 재입원한다. 심부전은 그 치료를 위해 환자 재원 기간 중 엄청난 의료 자원을 투여해야 하며 환자는 입원 중에도 끊임없이 여러 의학적 문제에 시달린다. 퇴원 후 6개월 내 재입원률은 50%에 달하며, 사망률은 약 30%에 이른다.
'심장 재동기화 치료를 받은 수축성 심부전 환자의 30일 내 재입원률 감소: 5개 무작위 배정 연구 기반의 근거'라는 제목의 메타분석에서, 연구진은 5개의 임상연구(CARE-HF, MIRACLE, MIRACLE-ICD, RAFT, REVERSE)에서 추출한 3872명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해 CRT가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후 30일 이내에 재입원하는 비율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CRT 치료군에서의 재입원률은 상대적으로 2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클래스 III, IV에 해당하는 보다 중증의 심부전 환자에서는 재입원률이 31%만큼 낮았으며, 클래스 II 환자군의 경우는 10%가 줄어 중증 심부전 환자군에서의 효과가 더 컸다.
'CRT 반응성 최대화가 가져오는 임상적 경제적 가치: 5개 무작위 임상연구 기반의 근거'라는 또 다른 연구에서는 CRT 치료 6개월 후 증상이 개선되거나 변함이 없었던 환자들이 증상이 악화된 이들에 비해 더 장수하고 심부전 관련 입원 등에 의한 자원 소비가 더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acker CCS (Clinical Composite Score) 점수를 기반으로 측정한 것으로, CCS는 사망, 심부전 관련 입원, 환자 설문, 뉴욕 심장학회(NYHA) 심부전 교실에서 정한 환자의 증상 변화 등을 변수로 해 환자 상태를 호전, 불변, 또는 악화로 분류한다.
이번 분석에 사용된 5개 연구(MIRACLE, MIRACLE-ICD, InSync III Marquis, PROSPECT and Adaptive CRT)는 총 16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이 중 68%의 환자가 증상 호전, 15%의 환자는 불변, 17%의 환자는 증상이 악화된 경우였다.
CRT 치료를 받은 6개월 시점에서 증상이 호전되거나 바뀌지 않은 환자의 기대 여명은 약 8년으로 증상이 악화된 환자군의 2년과 비교해 길었다.
또한 6개월 CCS 평가 후 첫 1년간의 심부전 관련 입원률은 증상이 호전된 환자군에서 0.13으로, 증상이 바뀌지 않은 환자의 0.27보다 낮았다. 증상이 악화된 환자의 경우는 0.90으로 증상이 바뀌지 않은 환자의 3배를 넘어섰다(p<0.0001).
메드트로닉 심장리듬 및 심부전 사업부 총괄 부사장인 데이비드 슈타인하우스(David Steinhaus) 박사는 “메드트로닉은 환자의 생명 연장과 보건의료 시스템에 발생하는 비용을 줄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혁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심장 재동기화 치료는 심부전 관리에 있어 중요한 수단이며, 이번 연구 결과는 메드트로닉의 어댑티브씨알티(AdaptivCRT) 알고리즘을 비롯한 여러 혁신사례들이 이미 임상적으로 입증된 치료법인 CRT에 있어 임상적, 경제적 가치를 더욱 높인 주요한 사례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RT는 심장박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율하도록 디자인됐다. 스톱워치 크기의 이 기기는 환자 가슴 윗 부분에 이식되어 섬세한 전기 자극을 심근에 전달한다.
CRT는 비용효과적이고 환자에게 많은 혜택을 주는 치료임이 증명되었으며 심부전 환자에 있어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과 심장 기능 등을 개선한다.
여러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을 통해 메드트로닉의 CRT 기기는 환자의 사망률 감소 및 삶의 질 개선을 증명해 왔다. 중등도 내지 중증 심부전 환자에 이르기까지 10년 이상 사용되어 그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됐다.
최근에는 방실차단(AV block), 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심장의 혈액 박출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 저하를 보이는 환자에서도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심부전 환자의 CRT 치료를 위한 종합적인 접근의 일환으로, 메드트로닉은 심부전 환자 치료의 전(전) 단계에 걸쳐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특허받은 알고리즘인 AdaptivCRT로, 이는 CRT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성을 높이고 30일 내 재입원률을 절반 가까이 줄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AdaptivCRT는 메드트로닉의 CRT인 비바(Viva) 제품라인(Viva XT, Viva Quad XT CRT-defibrillators, Viva CRT-pacemaker)에 적용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