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식환자69%,천식진단이전 알레르기증상 경험
이들 환자 중 80%가 천식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지 않아
2004-09-07 의약뉴스
이들 응답자 중 80%는 이러한 알레르기 증상들이 천식으로 발전할 위험에 대해 전혀 걱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아시아 평균인 48%보다 훨씬 높은 수치로, 한국인이 천식의 증상 및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의 관련성에 대해 그만큼 무지한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한국n=138, 아시아 4개국 n=625).
알레르기 비염이 발생하는 상기도(코)는 천식이 발병하는 하기도(목, 폐)와 하나의 기도로 연결되어 있어 두 질환의 발생, 발전, 치료가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천식환자 10명 중 8명이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고 알레르기 비염 환자 10명 중 3명은 천식증상을 나타내며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천식으로 발전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3배 이상 높기도 하다.
이 같은 사실은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드러났는데,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는 환자 10명 중 8명 이 천식 증상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으며 특히, 10명 중 약 4명(38%)은 알레르기 계절 동안 천식 발작 등 천식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외부 출입을 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의 천식 환자 또는 환자 부모 중 단지 6%만이 의사에게 진단 받기 이전에 자신의 증상이 천식일 것이라고 예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아시아 4개국 평균인 29%에 비해 약 1/5 정도로 낮은 수치이다. 또한 한국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1%는 자신의 증상을 천식이 아닌 단순 알레르기로 예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아 4개국 평균 22%).
천식을 처음 진단받은 연령도 한국의 경우는 평균 19.2세로, 아시아 평균인 13.2세보다 6년 정도 늦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령별 천식 인구가 국가간 별 차이가 없는 것을 고려할 때, 천식의 진단 연령이 늦다는 것은 천식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 있어서 한국이 그만큼 뒤쳐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약뉴스 이현정 기자(snicky@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