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혈액제제 수가 인상 '추진'
2004-08-16 의약뉴스
복지부는 이를 위해 적십자사 혈액사업조직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할 것을 최근 혈액안전종합대책(최종안)에서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 1998년부터 혈액수가의 변동 없이 묶여있었다"며 "현재 전혈에서 분리한 성분제제가 성분채혈된 성분제제보다 많은 이윤을 남기는 수가구조를 조정키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혈액관리의 개선에 따른 운영비용의 상승분 만큼 인상의 폭을 늘릴 것"이라며 "국민의 부담이 가중될 수도 있지만 계획적인 수가 개정관리체계를 확립하는데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건강세상네트워크(대표 강주성)는 적십자사의 혈액수급 독과점 체제와 수혈자들의 안전확보 등 문제의 핵심에서 벗어난 것에 복지부가 나서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아울러, 혈액수가의 조정을 위해서는 적십자사의 경영평가를 통해 수가인상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복지부가 제시한 혈액수가 비교자료의 수치가 실제 환자들의 부담에서 크게 벗어난 '왜곡'의 수준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강주성 대표는 "혈액수가를 인상하겠다고 나서려면 적십자사의 경영평가가 우선 수행돼야 한다"고 못박았다.
그는 또 "실제 환자가 부담하는 혈소판 수가가 19만원인데 복지부는 3만5천원으로 낮게 책정해 외국사례와 비교하고 있다"며 "외국은 15만원 상당의 혈소판 키트를 포함한 가격이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전혈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그대로 사용되지 않을뿐더러 이를 원심 분리해 성분마다 2만5천원에 환자가 공급받는다"며 "성분헌혈인 7∼8만원의 수가와 별 차이 없다"고 말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