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남녀 절반, "부모와 따로 살아야"

인구보건복지협 저출산 인식조사...44.6% '각자 살자'

2014-05-08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인구보건복지협회(회장 손숙미, 이하 인구협회)가 2014년도 제3차 저출산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24일(목)부터 28일(월)까지 5일간 전국 기혼남녀 1466명을 대상으로 모바일로 진행됐다.

협회측에 따르면, 조사 결과 부모부양의 책임을 묻는 질문에 대해 44.6%가 ‘각자 사는게 바람직하다’고 답했으며, 44.4%가 ‘아들, 딸 구분 없이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이 모셔야 한다’고 응답했다.

반면에 당연히 장남이나 아들이 모셔야 한다는 응답은 10.5%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 34.3%가 장남이나 아들이 모셔야 한다고 응답(여자 6.5%)해 부모부양에 대한 책임의식이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협회측은 설명했다.

부모와 함께 살면 좋은점에 대해서는 74.7%가 ‘아이를 믿고 맡길 때가 생겨서’로 답했으나, 정작 내가 나이가 들었을 때 내 자식이 나와 살 것 같냐?는 질문에는 76.7%가 ‘같이 살자고 해도 싫다’고 나타났다.

부모님께 용돈을 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61.8%가 생일, 명절에만 드리고 정기적으로는 못 드린다고 답했으며, 정기적으로 드린다는 응답은 28.6%에 불과했다.

정기적으로 용돈을 드리는 가정 중 54.5%가 양가 모두에게 드린다고 답했으며, 용돈의 액수로는 10∼20만원을 드린다가 41.8%로 가장 많았고, 20∼30만원이 27%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질문으로는 결혼 후 배우자의 부모와 한집에서 3개월 이상, 살아본 적이 있는가에 대해 74%가 ‘둘다 없음’을 선택했다.

인구협회 손숙미 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개인의 희생과 헌신을 강조하던 가부장적인 부양문화가 많이 무너진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고령화 시대 안정 된 노후를 위해서 젊어서부터 체계적인 노후설계 및 정부의 노인복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