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혈액문제 인권위 회부

2004-07-21     의약뉴스
의료시민단체가 현행 혈액제도개선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해 혈액사고 이후 혈액문제가 제 2라운드에 돌입했다.

혈액제도개선을 위한 시민환자공동대책위(건강세상네트워크, 한국코헴회, 한국백혈병환우회)는 20일 국가인권위원회에 혈소판 수급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진정서에 따르면 백혈병 및 혈액질환자, 암환자 등 혈소판 수혈을 받아야하는 환자들은 수급체계로 인한 질병 이외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

따라서 안정적인 혈액 공급량을 유지하기 위한 헌혈자 확보와 헌혈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으나, 정부와 대한적십자사ㆍ요양기관(이하 병원)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환자들에게 혈소판 수급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이들은 "환자의 치료에 중요한 성분채집혈소판의 경우 정부와 대한적십자사가 년간 성분채집혈소판 필요량의 약 16.5%(2003년 기준) 밖에 공급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환자에게 혈소판 수급책임을 전가하는 현행 체계는 개선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대한적십자사가 시민단체들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고 나서고 있어 문제는 커질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혈소판농축액 전량(1,106,702유니트)과 성분채집혈소판 39,352유니트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의료기관에 공급되었으며 이는 전체 혈소판 사용량의 94%에 해당한다는 것이 적십자사의 주장이다.

따라서, 적십자사는 "시민단체들이 주장하는 적십자사의 성분채집혈소판 필요량의 16.5% 공급설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지금까지 혈액사고 등 혈액관리 문제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에 대해 '원론적 대응'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왔다.

한편, 관계자들은 "인권위가 사실조사에 착수하면 실마리는 풀릴 전망이지만, 정부가 혈액수급체제 개선에 대한 의지를 갖지 않는 한 혈액문제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