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약대 6년제 저지로 모처럼 단합 관시

2004-06-30     의약뉴스
의협을 비롯한 의료계 전반이 이를 저지하기 위한 협의체제하에 들어가면서 약대 6년제의 향방이 불투명해졌다.

이는 약사회의 약대 6년제 추진의 시행여부에 대한 의료계의 주장이 현재 약사의 무면허 의료행위의 근절로 초점이 맞춰지는 등 집중적인 대응체제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약학과 학생들이 6년제 시행의 일방적인 저지에서 벗어나 한약학과 증설과 국립 한약학 연구원 설치를 주장하고 나서는 등 약대 6년제 시행은 현 의료체제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것이 의료계의 주장이다.

특히, 의협 김재정 회장을 비롯한 시도회장들은 교육부를 방문해 안병영 장관에게 건의서를 제출하고, 약대 6년제 시행에 대해 안 장관이 '신중한 검토를 하겠다'는 전향적인 답변을 받는 등 약대 6년제는 교육부의 인가를 받지 못하고 좌초될 여지가 있다.

안 장관은 전국시도의사회장단이 방문한 가운데 "졸속으로 추진하지 않겠다"며 "반드시 여론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답해 조만간 약대 6년제 시행의 향방을 결정하는 공청회를 개최할 것을 시사했다.

시도회장단은 "약사들의 불법진료행위가 방치되는 상황에서 약대 6년제를 연장할 경우 의대생들의 심각한 집단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 후, 약대6년제를 시행하기 이전에 공청회 등을 통한 여론 수렴과 분야별 전문대학원을 신설하는 것이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편, 의협과 병협을 비롯한 서울시의사회 등 의료계 단체들은 약대 6년제 추진을 '의료체제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시도'라고 규정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한 범의료계 차원의 대응책을 모색할 것을 합의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