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 진료인원, 연평균 7% 증가

진료비도 크게 늘어...입원진료 대부분 차지

2014-02-10     의약뉴스 남두현 기자

최근 6년간(2007~2012년) ‘담석증’ 질환의 진료인원은 2007년 8만8315명에서 2012년 12만5364명으로 연평균 7.3%씩 증가해,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연평균 6.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가 2007년 1,227억 9천만원에서 2012년 1,855억 2천만원으로 늘어 연평균 8.6% 증가했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입원 진료가 가장 비중 커 2012년 기준 전체 진료비의 87.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외래가 8.9%, 약국이 3.5%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담석증(K8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고 이 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 연도별 담석증 진료현황(단위: 명, %)
분석 결과, 여성진료인원이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7.7%, 여성 6.9%로 남성이 더 높았다.

2012년 기준 연령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70대 이상(31,672명, 25.3%)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50대(28,602명, 22.8%), 60대(25,904명, 20.7%) 순으로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환자의 6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인구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또한 70대 이상(863명), 60대(625명), 50대(378명) 순으로 나타났다.

▲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단위: 억원,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배상준 교수는 담석증 진료인원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노인인구가 증가한 사실을 꼽았다.

또 “현대인들의 식습관 변화로 고콜레스테롤 음식의 섭취가 늘어났으며, 과거보다 진단기술이 발전하여 초음파 등의 검사로 인해 질환의 발견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50대 이상 진료환자가 많은 것에 대해 “담석증의 발생요인중 하나인 콜레스테롤 포화지수는 대부분 연령이 높아질수록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고령층에서 담석증의 발생빈도가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배상준 교수는 담석증의 원인, 치료방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담석증은 간, 담도, 담낭(쓸개) 안에 돌이 생기는 질환으로 간내 담석, 담도담석, 담낭담석으로 위치상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통증이며, 흔히 오심과 구토를 동반하며, 발열이나 오한 등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담석증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 저단백, 고콜레스테롤, 단순 당섭취 등의 잘못된 식습관과 지나친 체중감소 혹은 체중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으며, 나이인자 또한 담석증의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증상이 없는 담석증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저절로 좋아지는 경과를 보이지만,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 담석증의 경우 담낭절제술과 같은 근본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또한 담석의 위치상 간내담석은 수술을 해야 하고, 담도담석은 내시경으로 꺼내보고 안되면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담석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저콜레스테롤 음식을 섭취하는 등 고콜레스테롤 음식의 양을 줄이려는 식습관이 필요하고, 꾸준한 체중조절을 통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