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혈액사업 불신 해소에 앞장 선다

적십자 주의ㆍ관련자 징계 및 추가조사 선행

2004-03-30     의약뉴스
보건복지부는 혈액사업에 대한 불신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 관리ㆍ감독체계를 확고히 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최근 감사원이 발표한 대한적십자사 혈액사업의 감사결과를 토대로 관련기관에 대한 주의는 물론 관련자 징계ㆍ오류사항 시정조치와 추가조사를 위한 합동 대책반을 구성하고 철저한 조사를 시행키로 했다.

복지부는 최근 감염의심 혈액의 유통 등 대한적십자사의 혈액사업에 대한 불신이 커짐에 따라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가의 관리ㆍ감독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혈액안전관리강화 방안'을 29일 발표했다.

혈액안전 국가 관리ㆍ감독체계의 강화 방안은 ▲국가의 감시ㆍ통제기능을 통한 혈액원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 ▲혈액관리위원회와 산하 소위원회를 활성화로 혈액원 허가와 평가를 위한 객관적ㆍ전문적인 관리감독체계 구축 ▲올바른 혈액정보와 헌혈분위기 확산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 등이다.

또한 복지부는 개인헌혈을 확대하고 새로운 헌혈자원 개발을 위해 ‘등록헌혈제’를 활성화하여 이미 검증된 건강한 헌혈자를 확보하고, 기존의 군부대ㆍ학교중심에서 대기업ㆍ공공기관ㆍ부녀회 등 헌혈자원의 다각화와 헌혈의 집 증설 등 헌혈인프라를 확충키로 했다.

아울러 핵산증폭검사(NAT)와 각 헌혈자의 혈액 일부(검체) 보관사업 및 역추적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혈장보관을 추진토록 하는 등 사전ㆍ사후 검사시스템의 지속적 보완ㆍ정비를 강화했다.

복지부는 “혈액원 개설허가제 도입과 혈액의 안전성, 품질관리를 위해 표준업무지침 마련 등을 차질 없이 진행했다”며 “작년 5월 구축된 혈액정보관리시스템 보완 등으로 헌혈자의 과거검사결과를 실시간 조회하여 채혈 전에 감염위험 헌혈자에 대한 사전선별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혈액안전성강화 조치가 확실히 추진될 수 있도록 복지부 내에 혈액안전을 관리하는 전담조직(혈액안전과) 설치를 추진키로 하고 관련부처와의 협의 중에 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