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 100% 천연비타민제는 없다
합성 보다 2~3배 비싸지만...기존제품과 차이 없어
불황의 그늘이 짙게 드리웠던 올해, 국민들은 비타민C를 많이 찾았다.
그러나 기존 합성비타민 제품보다 2~3배 비싼 가격의 ‘천연’이라는 타이틀을 단 비타민 제품들이 판매되면서 소비자들의 고민이 깊어졌다. 기존제품을 선택할 것인가 ‘천연비타민’을 선택할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천연비타민’이라는 말은 일부 원료를 천연에서 추출한 의미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존 제품과 특별한 차이가 없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일부 성분의 ‘천연원료’가 들어간 것을 ‘천연비타민’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천연비타민이라는 표현 자체가 모순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천연비타민에는 과일이나 채소에서 비타민을 추출하는 최소한의 물리적 공정만 허용된다. 천연비타민이라고 말하는 제품이 알약이나 캡슐 형태라면 곧 가공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부형제 첨가 등 화학적인 합성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천연비타민이라 할 수 없다.
그래서 많은 비타민 제조사들은 ‘천연원료 비타민’이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이런 표현은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자칫 천연비타민으로 오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국에 비타민C 치료법을 소개한 미국 인디애나의대 하병근 교수는 “비타민C는 100% 천연(Natural)으로 이루어진 1g 정제나 500mg 정제는 없다. 아세로라나 로즈힙 같은 과일 열매로 만들었다 해도 정제의 비타민C 함량이 200mg 을 넘어서면 천연비타민 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건강기능식품 표시 기준에 따르면, 천연의 표시는 어떠한 인공 첨가물이나 합성 성분도 제품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하고, 비식용부분의 제거나 최소한의 물리적 공정 외의 가공 공정을 거치지 않은 건강기능식품만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천연’이라는 표현을 쓰는 알약, 캡슐형태의 비타민제는 ‘천연 원료의 비타민을 합성한 비타민제’라는 표현이 정확하다.
천연원료의 비타민을 합성한 비타민이 기존 합성비타민보다 체내흡수율이 좋다는 견해도 천연 과일이나 채소 등을 통해 섭취할 경우에만 성립한다. 천연원료를 합성한 비타민제가 기존비타민보다 흡수율이 좋다는 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게다가 천연비타민은 투입한 원료에 비해 생산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이름만 천연원료 비타민일 뿐 천연 원료와 합성 비타민을 섞어놓은 제품이 많다.
합성비타민은 천연비타민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화학적 합성을 통해 만들어졌지만 천연과 같은 성분의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국 메이요클리닉의 연구에 따르면 천연비타민과 합성비타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같다. 국내 학자들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학계에서는 화학구조와 함량이 같으면 인체 내 효과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합성비타민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인위적이며 좋지 않은 물질’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천연'이라는 말의 맹신에서 나온 편견인 것이다.
전문가들은 “비타민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천연 혹은 합성의 여부를 따지는 것보다, 비타민을 얼마나 균형있게 섭취하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에서 쏟아내는 애매하고 무분별한 광고를 맹신하기 보다는 평소 자신의 식습관을 고려해 어떤 비타민의 섭취가 부족한지 아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