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계 자중지란에, 교육계 ‘자정결의’

“책임 통감”...내부 정쟁 중단 촉구

2012-11-16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한의계가 자중지란에 빠진 가운데 교육계가 뼈저린 반성과 함께 자정을 결의했다.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원장 박동석)은 15일, 서울 영등포역 누리로별실에서 ‘한의학교육의 정상화 및 한의학 발전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를 통해 평가원은 한의학 발전을 위한 교육방안을 모색하고 미래 한의사의 비전을 제시했다.

다섯 명의 연자들을 통해 천연물신약은 물론 치료기기 및 진단기기의 활용 방안 등 민감한 이슈들이 다뤄졌지만, 한의사뿐 아니라 환자들의 권익향상을 위해서도 시스템 개편을 통한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는데 뜻이 모였다.

연자들의 발표 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최근 한의계가 천연물신약 및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을 두고 소란스러운 만큼, 교육자의 입장에서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먼저 대전대학교 홍권희 교수는 “잘잘못을 떠나 이번 사태가 벌어진 것에 대해 협회에서 정책부재가 있었다면 협회가 잘못한 것”이라며 “협회가 정책을 통해 한의사들을 공감대를 이끌고 나아가는 것이 임무”라고 질타했다.

이어 경희대학교 부영민 교수는 “한의사의 권익보호에 앞서 국민의 권익 보호가 우선”이라며 “국민의 권익보호 아래에서 한의사의 직능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토론 참가자들은 이 자리에서 ‘한의학교육 정상화와 한의계 발전을 위한 자정결의서’를 낭독했다.

현재 천연물신약과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을 두고 한의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내분사태에 교육의 주체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한의계의 내부 사태가 진정으로 전 한의계까 원하는 방향으로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찬물을 끼얹고 발전을 저해하고 있지는 않는지 냉철하게 판단해야 할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총의를 모아 단결해야 할 시점에서 한의계 내부는 한의사간의 정확한 정보와 소통의 부재로 인한 자중지란이 일어나 한의계의 발전을 위한 어떠한 전술과 전략도 없이, 과거의 프레임에 묶여 한걸음 떼지 못하는 상황이 아닌지 실로 개탄스럽다”고 토로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이른 것은 교육가 스스로 소명의식 등 한의사 직무에 적합성을 두루 갖춘 인재를 적절히 배양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완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들의 뼈저린 반성이다.

특히 이들은 “현 사태에 대한 우려도 우려지만, 더 큰 걱정은 이러한 자중지란이 한의계 미래의 대안이 될 수 없고 이대로라면 한의계의 전도가 밝지 않다”고 호소했다.

이에 직역 이기주의가 아니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하는 입장에서 냉정하고 신중하게 논의해 한의계의 발전을 담은 합리적인 안을 도출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의협 집행부는 한의사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민주적인 절차를 거쳐 한의사의 민의를 충분히 수렴해 현명한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라고 촉구했다.

또한 정부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의사들의 민의가 잘 반영된 안으로 결론내리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한의과대학의 자율적인 평가와 인증을 통한 교육 정상화 ▲불필요한 내부 정쟁 중단 ▲국민을 위하고 국민이 사랑하는 한의과 한의사 상 정립 ▲일차보건의료 참여확대를 통해 국민보건에 이바지 ▲한의학 발전을 위한 정당한 요구를 적절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부에 제기 등 다섯 가지 사항을 결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