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협회는 지난 7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의약관련단체 행사에 개별 제약사가 협찬하는 것을 일체 금지하기로 결정하기로 결의했다.
이 같은 결의는 개별 제약사들이 부당고객유인행위로 오해받을 수 있는 과도한 협찬을 중단하고 공정거래법규를 준수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대한병원협회의 국제병원연맹총회, 대한약사회의 전국약사대회, 대한의사협회의 창립 100주년 기념사업과 관련하여 개별 제약사의 공정거래법규를 벗어나는 수준의 지원은 불가하게 되었다.
대신 병원협회, 의사협회, 약사회 등 3개 관련단체와 제약협회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제약협회 차원에서 이들 단체의 행사를 협찬하기로 했다.
제약협회는 “시작부터 완벽할 수는 없지만 한 가지, 한 가지씩 공정거래 관행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을 제약업계가 펼치고, 의약업계가 협조하고, 정부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준다면 종국엔 우리나라도 의약품 거래가 매우 투명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과 같은 수준으로 발전 될 것으로 확신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5일 한·일 제약협회 공동세미나에서 일본 제약협회 히데오 야마베 전무는 “일본 제약업계도 완전히 만족할 수준은 아니지만 공정경쟁이 상당히 잘 지켜지고 있다. 각종 학회는 제약사 협찬을 받지 않고 대학 강당을 빌려 도시락을 시켜 먹으며 학술행사를 진행할 정도고, 제약사가 의사에게 골프를 접대하는 경우는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20년 전만 해도 일본의 의약품 거래 관행은 문제점이 많았다. 이에 지난 20여 년간 일본 제약업계가 고통을 감내하고, 병·의원들도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한편 일본 정부도 강력한 행정력을 발동하여 오늘날의 공정거래풍토를 조성했다”고 덧붙였다.
◇판촉비 줄어 긍정 영향 기대
“앓던 이 빠졌다. 대체로 앞으로 판촉비가 줄게 돼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판촉비가 높은 회사는 그동안의 이점을 잃게 돼, 당분간은 불리할 수도 있다.”
개별 제약사의 의약 단체 행사 협찬 금지가 향후 제약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여러 가지 해석을 낳고 있다.
그동안 의·약사들의 의약품 처방권의 우월적 지위 때문에, 제약회사들은 의약사단체들의 협찬에 ‘울며 겨자 먹기’로 지원해왔었다.
또한 이를 통해 몇몇 제약사들은 대가성 있는 협찬을 지원해오기도 했다.
이러한 협회 결정과 관련해, 한미약품 관계자는 10일 전화통화에서 “한미약품은 제약협회 회원사이므로 협회 결정에 따르는 것은 당연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표했다.
LG생명과학 관계자는 “민감한 부분이다”며 공식적인 입장 표명에 신중을 기했다. 이름 밝히기를 꺼려한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 일단 환영하지만 제대로 지켜질 지 미지수"라며 " 겉으로는 공정경쟁을 외치고 뒤로는 리베이트를 하는 관행이 되풀이 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