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 번의 핵폭풍이 제약 업계를 휩쓸 것인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이어 경찰청의 제약사 리베이트 조사 진행에 업계의 촉각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서울지방경찰청이 PMS 리베이트와 관련, 10여개 제약사를 조사 중이고 대략 1,000 명의 의사를 소환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PMS (Post Marketing Surveillance, 임상 시판 후 조사) 제도란 신약 시판 이후 4∼6년 동안 병의원 등을 통해 해당 약품에 대한 환자들의 사용경험(600~3000례)을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신약이 상품화된 뒤 불특정 다수 환자들의 광범위한 경험을 통해 신약 개발과정에서 발견하지 못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검토하기 위한 것.
하지만 좋은 취지로 시작된 PMS 제도가 합법을 가장한 불법 리베이트 온상으로 덧칠해진 지 오래라는 것은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실제로 제약사가 의사·병원 측에 PMS 연구비로 한 건당 3~5만 원 정도 지불해야 함에도 10만 원, 20만원 많게는 30만원 정도 높게 거래돼 이것이 개별 제약사 처방과 연계되는 현상이 흔히 벌어지고 있다.
서울경찰청 수사2계팀 관계자는 6일 전화통화에서 PMS와 관련한 제약사 조사여부와 관련해, “밝힐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하지만 “10개 제약사는 어디어디냐”고 하자 “10개 제약사는 아닌데…”며 말끝을 흐렸다. 조사를 하기는 하는데 명단을 밝힐 수는 없다는 얘기다.
이번 경찰청 조사는 공정위 조사의 일환인지, 별도의 사안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