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운동 지지하지만 아직 구체안 못내
‘가정상비약 수준의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 운동’을 벌이고 있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정작 ‘가정상비약’에 대한 개념이나 기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실련 관계자는 6일 “대한약사회도 가정상비약에 대한 개념과 기준에 대해 밝히라고 요구했었다”며 “하지만 비전문시민단체인 경실련이 이를 규명할 능력은 없다”고 인정했다.
그는 “경실련이 답을 제시하려는 것보다 그 답을 만드는 과정을 제안하려는 것”이라며 “관련단체들이 가정상비약에 대해 논의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하련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동안 경실련이 주장해온 ‘가정상비약 수준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 운동’은 가정상비약에 대해 규정한 상태에서 진행해온 경향을 보여 모순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부의 의약외품 확대에 대한 평가나 외국의 판매사례를 소개하는 등 경실련이 보여 온 모습은 가정상비약에 대한 개념이나 기준이 선행돼야 가능한 일이라는 것.
경실련도 최근 이를 인식한 듯 5일 대한약사회와 대한가정의학회, 소비자단체 등에 ‘(가)가정상비약 바로 알고쓰기 캠페인’과 ‘(가)의약품 사고 신고센터’ 등을 공동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경실련은 지난 6월 25일 열린 ‘일반의약품 약국외 판매, 공론의 장을 모색한다’라는 주제로 열렸던 토론회에서 대약이 제안했던 ‘가정내 상비약 갖기 운동’의 의의를 인정했다.
더 나아가 이보다 적극적인 방식의 가정내 상비약 바로 알고쓰기를 통해 국민들의 올바른 의약품 관리와 사용을 돕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약국외 판매’를 주장하는 것 보다 ‘가정상비약에 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먼저라는 판단을 하게 된 것. 경실련 관계자도 “그동안 대립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온 것에서 협력하는 틀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방향전환을 밝혔다.
이러한 경실련의 방향전환은 그동안의 논의와 주장이 기본적인 개념과 기준에 대한 합의 없이 진행돼 추상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