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명 처방’이 향후 제약업계·의료업계 판도를 뒤흔들 광풍의 ‘핵’이 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9월부터 국립의료원에서 일부 의약품에 한해 ‘성분명처방 시범사업’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4일 의약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시범사업 배경과 관련해 “고가약 대신 효능이 동등한 약품이 처방돼 의료비 절감에 일조 한다”고 말했다.
이어 “또 처방된 특정 제약회사 제품이 없어 환자가 다른 약국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 환자편의를 도모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성분명처방 로드맵과 관련해서는 “오는 9월부터 내년 6월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한 연후에 1~2개월 가량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분석에 돌입 한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복지부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해서 꼭 제도화되는 것은 아니지만, 약제비가 절감되고 부작용 우려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난다면 성분명 처방을 시행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정부가 의료비 절감을 위해 장기적으론 성분명 처방을 확대 시행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하고 있다.
성분명 처방이 몰고 올 파장은 크게 ▲원외처방의약품 선택권이 기존 의사에게서 약사에게로 옮겨질 가능성 ▲개량신약·제네릭 약 처방 확대 및 과당경쟁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오리지널 제품들은 환자들의 선호도 때문에 성분명 처방이 시행돼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개량신약이나 제네릭 제품의 경우, 시장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른 일부에서는 일정 부분 오리지널 의약품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렇듯 전망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제약사, 다국적 제약기업들은 성분명 처방이 매출에 미칠 영향과 영업·마케팅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다국적 제약기업이 바짝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다.
성분명 처방이 실시되면 환자부담금을 줄이는 차원에서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약가가 저렴한 제네릭 처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오리지널을 다수 확보한 외자사의 매출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
또 외자사 영업은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한 대형병원에 집중돼 있어 약국 영업을 늘리는 것도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국내 제약사도 긴장하긴 마찬가지.
제네릭에 상당부분 의존하는 국내 제약사로서는 제네릭 처방이 늘 것이라는 전망엔 희색 이지만 역시 약국 영업 비중을 늘리는 등 판촉비 증가 및 영업구조 재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한편 대한의사협회 등 의사단체들이 성분명 처방 저지를 위해 총공세를 펼칠 태세여서, 성분명 처방 시범실시 및 향후 본격 도입 여부에 난항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