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서울시약, 근거없는 대기업 유착설 '역풍'
상태바
서울시약, 근거없는 대기업 유착설 '역풍'
  •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 승인 2007.06.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체적 근거 없이 의혹제기...정책 연대 아쉬워
서울시약이 지난 4일 성명서를 통해 제기한 ‘시민단체 대기업 유착설’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고 있다. 구체적 근거 없이 ‘의혹’만 가지고 성명서에서 언급한 것은 경솔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시민단체를 갈등관계로 몰고 가는 것보다 정책 연대의 한 축으로 풀어가야 하는데 오히려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사태해결을 더욱 힘들게 한다는 것.

시약사회는 성명서에서 “일부 시민단체의 일반의약품 약국외 판매주장에 대해 우리는 깊은 유감을 표하며 국민건강에 관한 주요정책을 깊은 연구나 노력없이 언론을 이용한 여론몰이 하는 행태에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전제했다.

또 “국민건강을 외면하고 상업주의적 사고의 발현을 일삼는 시민단체는 일부 대기업 유통업체와의 유착관계가 있는지를 분명히 밝혀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근거는 내놓지 못하고 ‘그동안 대기업 유통업체의 로비가 있었다는 의혹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서울의 한 분회장은 “근거 없이 의혹만 가지고 시민단체를 비난하는 것은 무리”라며 유감을 나타냈다.

조속한 해결을 주문하는 그는 “굳이 경실련이 제시한 8일 오전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빨리 처리해 부정적 여론의 확대를 막아야한다”고 촉구했다.

마찬가지로 근거 없는 비난에 부정적인 다른 분회장도 “서울시약이 빨리 논의와 대화의 자리를 만들어 수습해야한다”며 “8일까지 시한을 맞출 필요 없이 빨리 매듭지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시민단체를 잘 설득해 약사정책의 파트너로 협조를 얻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시민단체와 갈등을 빚는 것에도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번 서울시약의 성명서는 시민단체에 대한 내용 외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태의 흐름은 이를 묻히게 하고 있다. 약사회의 대외 활동이 얼마나 치밀한 계산과 분석을 통해 이뤄져야하는지 잘 보여주는 반증이다.

한편 서울지역 분회장들은 성명서가 나오는 정도만 알고 있었지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