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약사사회 자정능력 한계, 전화위복 계기 필요
상태바
약사사회 자정능력 한계, 전화위복 계기 필요
  •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 승인 2007.01.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행이라는 이름의 편법...이제는 사라져야
▲ 약사사회의 자정능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최근 약사사회가 자체적인 자정능력과 개혁 의지의 한계를 드러내는 두 사건으로 크게 흔들리고 있다.

하나는 선거기간 내내 말이 많았던 경기도의 부정선거 의혹 사건이다. 또 하나는 2005년부터 시작된 룡천성금 건으로 최근에 권태정 서울시약회장이 단식까지 하면서 결백을 주장하고 있다.

이 사건들을 통해 약사사회에서는 자체적으로 해결되지 못하는 사안은 외부세력 개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국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약사회 선거를 관리해야한다는 제안과 대한약사회의 외부감사 요구가 대표적인 예다. 

지금 두 사건 모두 법정으로 가고 있다. 약사회의 자정 능력을 넘어선 것이다. 경기도 약사회의 부정선거 의혹은 22일 경기 선관위의 손을 떠났다. 재심을 벌인 경기선관위는 박기배 당선자의 당선을 확정하고 이광 약사에게 다음 선거까지의 피선거권을 박탈했다.

   
▲ 약사사회의 자정능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당선무효을 요구하는 이의신청을 냈던 이진희 후보는 이같은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법정으로 간다는 뜻을 여러차레 밝힌바 있다.

23일 서울시약사회 자문위원들이 긴 면담을 통해 설득하려한 권태정 회장도 법정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약사사회의 결정이 객관적이거나 공정하지 않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이유 이다.

자신의 룡천성금 횡령 혐의뿐만 아니라 자신의 측근을 동원해 만든 ‘룡천성금 진실규명위원회’를 통해 원희목 대약회장까지 법정에 세우겠다고 공언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앞으로 각종 성금과 약정회비를 추가로 문제 삼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약사사회의 자정능력을 보여주는 최근의 대표적인 두 사건은 새로운 사건이 아니라 해묵은 관행이 특정한 계기를 통해 폭발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권회장을 면담했던 자문위원들조차 “지금까지 운영해왔던 약사회 관행”이라며 이를 인정했다. 경기도에서 부정선거 의혹의 출발점이 됐던 투표용지 수거도 이전 선거에서 논란이 됐고 적당히 덮고 가자는 압력이 높았다.  

이러한 사건과 상황에 대해 ‘처방권’이 없는 약사들의 한계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이에따라 자신들의 ‘조직적 질병’에 대해서도 제대로 된 진단과 처방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번 사건의 진행과정에서도 혐의를 받고 있는 측에서는 ‘관행’을 인정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관행이라는 이름의 편법이 여전히 통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사건을 통해 약사사회가 정화되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

자문위원들이 외부감사 등을 통해 약사회의 변화 계기를 만들자는 입장을 밝혔고 선관위의 위상 강화를 포함한 ‘약사회의 체계 바로 세우기’가 폭넓은 공감대를 얻고있다. 두 사건을 계기로 약사회가 바로 서는 계기가 될지 두고 볼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