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복지부, 일반약 확대 "재분류 근거없다" 외면
상태바
복지부, 일반약 확대 "재분류 근거없다" 외면
  •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 승인 2006.12.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사회는 근거와 자료 제시조차 안해"
▲ 일반약 확대를 위한 약사회의 노력이 미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복지부는 약사회가 의약품 재분류를 위한 근거나 자료를 공식적으로 제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그림은 일반약 확대에 복지부가 난색을 표하고 있는 모습.

일반의약품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반약의 확대로 약국경영 활성화를 추진하겠다는 대한약사회 원희목 회장의 선거공약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처방 위주의 약국경영에서 벗어나려는 약사회는 일반약의 비중을 높여 경영다각화를 이루고 침체된 동네약국들의 경영활성화에 도움을 주려는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얼마 전 치러진 대한약사회 선거에서 일반의약품 확대를 위한 의약품 분류작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원희목 회장은 “일반의약품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반의약품의 범위가 지금보다 넓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바 있다.

또 분류방식을 보험약과 비보험약, 또는 처방약과 비처방약이라는 개념으로 변화시키고 비보험약에 대한 약사의 역할을 높여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일반약품에 대한 약사들에게 전문적인 지식과 판매기법을 교육해 국민들이 일반의약품의 가치에 대해 새롭게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가격질서를 바로 세워 난매를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기호 1번으로 출마했던 권태정 서울시약회장도 의약품 재분류와 가격질서 확립, 약사 교육을 주장했다. 권회장은 특히 “정부나 제약회사 누구하나 의사들 눈치 때문에 선뜻 나서려 하지 않는다”며 제약사들이 일반약에 소극적인 이유를 의사들에게 돌리고 있다.

하지만 의사와 제약업계, 복지부의 입장은 다르다. 계속되고 있는 일반의약품의 비중 감소는 처방약 중심으로 공급, 소비되고 있는 현재의 의약품시장을 유지하려는 의사들과 비용에 비해 수익이 낮은 일반의약품을 꺼리고 있는 제약사들의 ‘밀착’ 때문이다.

정부의 반응도 쉽지 않다. 복지부 관계자는 29일 “의약분업 이후 일반약 확대를 주장하는 약사들과 처방전 중심을 주장하는 의사들은 계속 맞서 왔다”며 “새로운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하지만 약사회가 한번도 의약품 재분류를 할만한 근거와 자료를 가지고 공식적으로 제기하지 않았다”며 “근거와 자료가 명확하면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의약품 재분류를 위해서는 약사회가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지만 그에 대한 효과가 얼마나 나올지는 미지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