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 LBCL, 3년차까지 지속적 이점 유지
리히터증후군, RWD 통해 임상적 이득 확인
[의약뉴스 in 시카고] BMS의 CD19 표적 CAR-T 세포치료제 브레얀지(성분명 리소캅타진 마라류셀)이 다방면에서 임상적 가치를 확인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ASCO 2024)에서는 브레얀지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연이어 발표됐다.
먼저 미국 연구진은 국제 혈액 및 골수 이식 연구 센터(CIBMTR)의 리히터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브레얀지를 평가한 실제 임상(Real-World) 데이터를 발표했다.
리히터 증후군은 공격적인 림프종으로 급격하게 전환되는 증상으로, 아직까지 표준요법이 없고, 예후가 좋지 않아서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은 3~12개월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진은 CIBMTR로부터 2021년 2월부터 2023년 2월 사이에 실제 임상현장에서 브레얀지를 투약한 리히터증후군 환자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앙추적관찰 12.3개월 시점에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평가 가능한 29명의 환자 중 76%,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 CR)는 66%로 집계됐다.
첫 번째 반응이 나타나기 까지의 시간 중앙값은 1.1개월로, 반응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은 중앙값에 이르지 않았으며, 12개월 반응지속율은 77%로 보고됐다.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와 전체생존기간 역시 중앙값에 이르지 않았으며, 12개월 무진행생존율은 54%, 전체생존율은 67%로 집계됐다.
70%의 환자가 사이토카인 방출증후군을 겪었으나, 3등급 이상은 4등급이 1명, 5등급이 1명 등 드물었다
예후가 좋지 않은 리히터 증후군 환자에서 상당히 고무적인 연구 결과라는 평가다.
리히터 증후군 연구에 이어서는 재발/불응성 거대B세포림프종(LBCL)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TRANSFORM 연구의 3년차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이 연구는 1차 불응 또는 1차 치료에서 12개월 이내에 재발한 환자로 조혈모세포이식이 불가능한 환장에서 최적지지요법과 브레얀지를 비교하고 있다.
분석 결과 무사건생존기간(Event-Free Survival EFS) 중앙갑슨 브레얀지가 29.5개월에 달한 반면, 최적지지요법군은 2.5개월에 불과했고, 36개월 무사건생존율은 45.8%와 19.1%로, 브레얀지군의 사건 발새 또는 사망의 위험이 약 63%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HR=0.375, 95% CI 0.259-0.542)
객관적반응률은 87%와 49%, 완전관해율은 74%와 43%로 역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브레얀지군이 중앙값에 이르지 않은 가운데 최적지지요법군은 6.2개월에 그쳤고, 36개월 무진행생존율은 50.9%와 26.5%로 브레얀지군의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이 58% 더 낮았다.(HR=0.422, 95% CI 0.279-0,639)
전체생존기간은 두 그룹 모두 중앙값에 이르지 않았으며, 36개월 전체생존율은 브레얀지군이 62.8%, 최적지지요법군이 51.8%로 집계됐다.(HR=0.757, 95% CI 0.481-1.191)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은 브레얀지군이 중앙값에 이르지 않은 가운데 최적지지요법군은 9.1개월로 집계됐다.(HR=0,603, 95% CI 0.36-1.000)
거대B세포림프종 2차 요법에서 브레얀지가 지속적인 효능을 보였다는 평가다.
마지막으로 재발/불응성 외투세포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TRANSCEND-MCL 연구를 이전 치료 이력에 따라 평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연구에는 이전에 BTK 억제제, 알킬화제, CD-20 표적치료제 등으로 2차례 이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포함됐으며,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16.1개월이었다.
분석 결과 전적으로 이전 치료 횟수에 상관없이 브레얀지가 일관된 이득을 제공했으며, 트기 BTK 억제제에 불응하지 않은 환자에서 이득이 더 컸다는 평가다.
객관적반응률은 전체 환자에서 83%, 2차례 이상 받은 환자에서 83%, 3~4차례 받은 환자는 86%, 5차례 이상 받은 환자는 81%로 집계됐으며, BTK 억제제 치료 이력이 있는 76%, 이 가운데 이전에 BTK 억제제에 불응했던 환자는 76%, 불응하지 않았던 환자는 91%로 집계됐다.
완전반응은 전체 환자에서 72%, 2차례 이상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장에서도 72%, 3~4차례 받은 환자도 72%, 5차례 이상 받은 환자는 65%로 보고됐으며, BTK 억제제 불응 환자는 64%, 불응하지 불응하지 않은 환자는 80%로 보고됐다.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은 전체 환자에서 15.7개월, 2차례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는 14.5개월, 3-4차례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는 17.5개월 5차례 이상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는 6.7개월, BTK 억제제 불응 환자는 5.3개월, 불응하지 않은 환자는 24.0개월이었다.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전체 환자에서 15.3개월, 2차례 이상 치료 받은 환자에서 12.3개월, 3~4차례 받은 환자는 16.6개월, 5차례 이상 받은 환자는 7.4개월, BTK 억제제 불응환자는 6.1개월, 불응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24.0개월로 보고됐다.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전체 환자에서 18.2개월, 2차례 이상 치료 이려기 있는 환자에서 17.1개월, 3-4차례는 18.4개월, 5차례 이상은 13.5개월, BRK 억제제 불응 환자가 11.1개월, 불응하지 않은 환자는 36.3개월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