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07:22 (월)
[ESMO GYN 2023] AZ 세라라설팁, 예후 좋지 않은 여성암에서 희망
상태바
[ESMO GYN 2023] AZ 세라라설팁, 예후 좋지 않은 여성암에서 희망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3.02.24 02: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발 투명세포암ㆍ자궁내막암ㆍ자궁경부암ㆍ암육종 환자 대상 2상
린파자 병용 또는 단독요법으로 가능성 제시

[의약뉴스]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하고 있는 ATR 억제제 세라라설팁이 예후가 좋지 않은 일부 재발 여성암에서 희망을 제시했다.

23일 진행된 유럽종양학회 여성암 연차 총회(ESMO Gynaecological cancer annual congress)에서는 이전에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후 재발한 여성암(투명세포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암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2상, ENGOT/GYN1/NCRI ATARI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이 연구는 투명세포암 환자 중 ARID1A 결핍이 있는 환자(코호트1A)에서 세라라설팁 단독요법을, ARID1A 결핍이 없는 환자(코호트2) 또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암육종 환자에서는 세라라설팁과 PARP 저해제 린파자(성분명 올라파립, 아스트라제네카)를 병용 투약해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했다.

▲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하고 있는 ATR 억제제 세라라설팁이 예후가 좋지 않은 일부 재발 여성암에서 희망을 제시했다.
▲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하고 있는 ATR 억제제 세라라설팁이 예후가 좋지 않은 일부 재발 여성암에서 희망을 제시했다.

연구의 1차 평가변수로는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을, 2차 평가변수로는 질병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과 반응지속기간(Duration or Response, DoR),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안전성과 내약성 등을 설정했다.

이 가운데 질병조절률은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과 부분반응(Partial Response, PR)에 더해 16주 이상의 안정병변(Stable Disease, SD)으로 정의했다.

먼저 안전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이상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이 코호트1A에서는 9%, 코호트2에서는 10%로 보고됐으며, 코호트3에서는 한 명도 없었다.

전체적으로는 3개 코호트에서 6%의 환자만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중단, 내약성은 무난했다는 평가다.

코호트1A군 효능 분석 결과, 객관적반응률은 14%, 반응 지속기간 중앙값은 24주, 질병조절률은 41%로 보고됐으며, 16주 무진행생존율은 45%,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3.5개월,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9.8개월로 집계됐다.

코호트2는 객관적반응률이 14%, 반응 지속기간 중앙값은 8주, 질병조절률은 38%, 16주 무진행생존율은 38%,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3.5개월,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12.4개월로 보고됐다.

마지막으로 코호트3는 객관적반응률이 21%, 반응 지속기간 중앙값은 41주, 질병조절률은 52%, 16주 무진행생존율은 54%,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5.5개월,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21.5개월로 집계됐다.

다만 다양한 암종이 포함된 코호트3에서는 암종마다 반응률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자궁내막암육종 환자에서 가장 반응률이 높았으며, 특히 이 가운데 한 명은 안전병변에서 부분반응으로 전환, 120주까지 반응을 유지했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희귀한 여성암에서 세라라설팁 단독 또는 린파자 병용요법이 임상적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다양한 비투명세포 암종이 포함된 코호트3에서 병용요법이 입증 가능한 활성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