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3-06-10 17:40 (토)
[ESMO I.O] 키트루다ㆍ아다그라십,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시너지
상태바
[ESMO I.O] 키트루다ㆍ아다그라십,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시너지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12.08 0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치료 환자 대사 임상 1ㆍ2상에서 긍정적 결과 도출...치료 중단율도 낮아

[의약뉴스]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아다그라십이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와의 시너지를 확인했다.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에서 50~60% 이르는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에 질병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은 90~100%에 달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7일(현지시간) 유럽종양학회 면역항암 연례학술회의(ESMO IMMUNO-ONCOLOGY 2022)를 통해 공개됐다.

▲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아다그라십이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와의 시너지를 확인했다.
▲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아다그라십이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와의 시너지를 확인했다.

KRYSTAL-1 임상 1상 및 KRYSTAL-7 임상 2상 중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로 키트루다와 아다그라십 병용요법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앞서 지난 세계폐암학회 연례학술회의(WCLW 2022)에서는 또 다른 KRAS G12C 표적치료제 루마크라스(성분명 소토라십, 암젠)가 2차 치료 환경에서 키트루다 또는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 로슈)과의 병용요법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 가운데 7일 공개된 두 건의 임상 코호트 중 KRYSTAL-1 임상 1상에서는 7명의 환자가 키트루다와 아다그라십을 병용했으며, 중앙 추적관찰 19.3개월 시점에 객관적반응률은 57%, 질병조절률은 100%로 집계됐다.

반응이 나타난 4명의 환자들은 모두 9개월 이상 반응이 지속됐으며, 2명은 18개월 이상 반응을 유지했다.

또한 KRYSTAL-7 임상 2상에서는 53명의 환자가 키트루다와 아다그라십으로 1차 치료를 받았으며, 중앙 추적관찰 3.5개월 시점에 객관적반응률은 49%, 질병조절률은 89%로 집계됐다.

반응이 나타난 24명의 환자를 포함해 66%의 환자들이 중앙 추절관찰 시점까지 치료를 유지하고 있었다.

안전성에 있어 치료와 관련한 3등급의 이상반응은 KRYSTAL-7 연구에서 40%로 집계됐으며, 4등급 이상반응은 4%로 나타났으며, 5등급의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치료와 관련해 31%의 환자가 아다그라십의 용량을 줄였고, 일시 투약 중간은 41%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치료 관련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3%로 모두 키트루다로 인한 이상반응이었다.

이와 관련, 스위스 제네바대학 알프레도 아데오 교수는 “KRAS G12C 표적치료제와 면역관문억제제 병용요법의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연초 발표된 소토라십(루마크라스)와 면역관문억제제 병용요법에서는 최대 74%의 환자가 치료와 관련한 3등급 이상반응을 보고했으며, 50%가 치료를 중단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번 학술대회에서 보고된 예비 분석은 안심할 수 있다”며 “병용요법의 안전성 프로파일이 각각의 단독요법과 일치하며, 중단율은 낮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