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정부 주도의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준비에 나서자 관련 업계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복지부는 감염병 상황에 맞춘 기능을 특화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에 15억원의 예산 투자를 예고했고, 이에 대해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은 비대면 진료의 법제화가 확실시되고 있는 신호로 분석했다.
이는 감염병 상황에서의 환자 관리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현재 민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는 일부 차이가 있다.
약업계 관계자는 “복지부가 발표한 안을 알아보니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환자 관리 기능 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으로 본다”며 “여기에 개인정보 관리 기능이 강화된 플랫폼을 개발하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이어 “감염병을 먼저 생각하고 그 뒤에 다른 질병을 보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3년간 15억을 투자해 개발하고, 2년간 실증사업에 나설 계획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처럼 정부 주도의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 소식이 전해지자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업체들은 아직 구체적 그림이 나오지 않아 어떤 형태의 플랫폼일지는 알기 어렵다는 반응을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 주도 비대면 진료 플랫폼 관련해서 정보가 공개된 것이 한정적”이라며 “이에 대해서 어떤 형태로 구현될 것인지 아직은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15억이라는 많은 예산을 들여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리와 운영 부분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이 부분을 정부가 주도해서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 나와야 구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주도의 비대면 진료 플랫폼 구상은 곧 비대면 진료 법제화의 청신호라는 분석도 이어졌다.
이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 예산을 복지부가 편성했다는 것은 큰 의미”라며 “비대면 진료 법제화가 곧 마무리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줄 수 있는 신호”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개발한다면 이는 법제화가 코앞으로 다가왔다는 의미”라며 “미래를 아직 알 수 없지만, 긍정적인 신호로 업계는 받아들일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