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정부 주도로 ‘공적’ 전자처방전 도입 논의가 시작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진행하고 있는 ‘진료지원 플랫폼 시범사업’에 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건보공단은 진료지원 플랫폼 시범사업과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범사업으로 범용성을 갖춘 표준화된 모델이 개발될 거라고 전망했다.
진료지원 플랫폼 지원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산업통상자원부)이 발주한 ‘바이오나노 산업 개방형 생태계 조성 사업’ 일환으로, 지난해 5월부터 2024년까지 총 44개월에 걸쳐 이뤄지는 사업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약 7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이 중 건보공단은 15억원을 지원받는다.
건보공단이 갖고 있는 환자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응급환자 등에게 의료진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공유 플랫폼을 개발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진료지원 플랫폼은 말 그대로 환자의 검진, 진료, 처방 등 건강 정보를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해 응급의료 및 의사소통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검진, 처방 내역을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진료지원 플랫폼 사업의 핵심이다.
응급진료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제공, 만성질환 환자의 장기적인 진료계획을 위한 데이터 제공, 입퇴원 환자의 지속적 관리를 위한 데이터 제공, 의사소통이 어려운 고령자/ 소아, 장애인, 치매환자 등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 등이 주요 중점 서비스 내용이다.
QR코드 기반의 전자처방전 서비스도 그 중 하나다. 말 그대로 종이가 아닌 휴대전화로 ‘처방전’을 주고받는 것이다. 전자처방전 서비스는 의료기관이 알림 톡으로 전자서명 처리된 처방 내역을 환자에게 알리면 환자는 휴대전화에서 처방 내역을 확인하고 건보공단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건보공단의 애플리케이션인 ‘The건강보험(앱)’에 접속해 QR코드를 발행 받아 약국에서 보여주면 된다. 약국은 QR코드를 스캔해 건보공단 서버에 저장된 처방 내역을 전송받아 조제를 한다.
진료지원 플랫폼 시범사업의 현재 진행상황에 대해 건보공단 신순애 빅데이터전략본부장은 “올해 9월 말에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고, 현재 원주연세의료원과 원주시 의사회 소속의 의원급 의료기관(5개)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10월 27일 기준으로 건강정보 제공을 동의한 지역 주민은 약 1000여명”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등 의료진의 시의적절하고 합리적인 진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신 본부장의 설명이다.
또한 신 본부장은 전자처방전 시범사업에 대해 “주관기관인 원주연세의료원과 문전약국에서 시작됐고, 건보공단은 전자 형태의 처방전을 의료기관-환자-약국 간 전달하는 전자처방전의 중계센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진료지원 플랫폼과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범사업을 통해 범용성을 갖춘 표준화된 모델이 개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