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약물이 공부잘하는 약으로 둔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우려점이 나왔다고 밝혔다.
신현영 의원 발표에 따르면 서울 자치구 중 교육열이 높은 것으로 유명한 강남 3구(강남ㆍ송파ㆍ서초)와 노원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ADHD 약물을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약물 처방자의 수도 증가했다.

지난 2021년 ADHD 약물을 처방받은 인원은 7만 9천 037명으로 17년 3만 7천 308명 보다 약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간 ADHD 약물 처방자 거주지 중 경기가 7만 8천343명(28.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 7만 591명(25.7%), 부산 2만 3천962명(8.7%) 순이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서울에서 강남 3구(강남ㆍ송파ㆍ서초)와 노원구에 거주하는 사람이 ADHD 약물을 가장 많이 처방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처방 인원수를 보면, 송파구가 6천 403명(8.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남은 6천 324명(8.7%), 노원은 4천 661명(6.4%), 서초는 4천 345(6.0%) 순이었다.
가장 적게 처방받은 자치구는 금천구(24위)와 중구(25위)로 금천구는 1천 066명(1.5%), 중구는 822명(1.1%)이었다. 1위 송파구와 25위 중구는 약 7.8배 격차가 났다.
신현영 의원은 “ADHD는 산만, 주의력 부족, 충동성 등의 증상을 보이며, 치료 약을 복용할 경우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줄어든다.”며 “이로 인해 과거 교육열이 높은 강남 3구를 중심으로 ADHD 약물이 집중력을 높여준다며 공부 잘하는 약으로 둔갑한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ADHD 약물 처방의 증가가 한국 사회의 과도한 교육열과 약물 오남용의 결과가 아닌지 검토해야 한다”며, “향정신성의약품인 메틸페니데이트 성분의 ADHD 약물이 적절하게 처방될 수 있도록 선제적인 지침 마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