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국정감사의 화두는 마약과 인슐린 콜드체인이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들은 마약류 의약품 관리 실태에 문제점을 지적하며 보다 엄격한 관리 규정을 주문했다.
또한 생물학적 제제 콜드체인 규정 강화로 인한 인슐린 대란에서 식약처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식약처의 마약 관리에 문제점을 파고들었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은 “드라마 ‘수리남’에서 벌어지는 일이 대한민국의 현실이 아닌가 싶다”며 “식약처가 마약에 대한 예방, 단속, 재활 책무가 크다”고 말했다.
이에 오유혁 처장은 “최근 마약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보며 청소년들에 대한 폐혜가 심각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이후 서 의원은 “식약처 공익광고 모델이 코카인을 외치는 음악에 춤을 추는 영상이 유행했다”며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마약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매우 쉬워졌다”고 지적했다.
이에 “마약 예방을 위해선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며 “식약처가 책임지고 교육이나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과 DUR을 연계하는 방법 등으로 해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좋은 프로그램이 이미 있으니 이를 연계해 쓰는 것도 중요하다”며 “재활에 있어서는 전문가가 있는 마퇴본부가 있으니 이들의 역량을 활성화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오 처장은 “심평원과 논의해 해결책을 모색해보겠다”며 “현재 구조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외에도 강선우, 전혜숙, 최연숙 의원 등 여러 의원이 마약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에 오유경 처장은 ▲마약류 셀프 처방 방지 방안 모색 ▲마약안전기획관 조직 폐지 관련 대책 마련 ▲위법 처방 규제 방안 마련 등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8월부터 시행된 생물학적 제제 콜드체인 강화와 이로 인해 발생한 인슐린 대란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은 “인슐린 제제에 대한 콜드체인 규정 문제 있다”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들에게 엄청난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콜드체인 강화를 위해서 유통업체들이 많게는 5000만원 정도를 써야 하는데, 이를 식약처가 뒷받침 해줘야 한다”며 “식약처가 인구비례에 따라 인슐린 거점약국을 지정해 공급하는 방안도 고민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오유경 처장은 “약사회와 복지부 등 유관기관과 논의해 유통 문제 해결책을 찾아보겠다”며 “오는 1월까지인 계도기간 내에 꼭 대책을 만들겠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도 “이번 인슐린 문제는 식약처가 업계에 대한 실질적인 고려가 없는 상황에서 규정을 강화하고 무리하게 밀어붙인 결과”라며 “업계 입장과 준비 속도를 고려하는 부분이 미흡했다”고 질책했다.
이어 “당뇨 환자들에게 인슐린은 공기와 같다”며 “대국민서비스를 어떻게 할 것인지 식약처가 고민하고, 계도기간 이후에도 도매업체들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자 오 처장은 “1차 계도기간 동안 환자단체와 소통하지 못한 부분 있었다”며 “이번에는 환자단체와 소통하며 2차 계도기간 종료 전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정춘숙 보건복지위원장은 국정감사를 마무리하며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얘기들도 많았다”며 “빌게이츠 재단을 벤치마킹해 프로세스를 가지고 산업 성장 방안을 고민해보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어 “외국 컨설팅을 받아보면서 R&D 육성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리고 대안을 만드는 단계를 거치면 좋겠다”며 “이 자료를 의원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해주길 바라겠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