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3-19 12:25 (화)
비대면 진료 플랫폼 서비스 확장, 의약계 반발
상태바
비대면 진료 플랫폼 서비스 확장, 의약계 반발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2.07.02 0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케어 관리 신규 서비스 등장...“개인 건강정보 상업적 활용 가능성 커져”
▲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건강정보 수집에 나서자 의약계에서는 상업적 활용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경계했다.
▲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건강정보 수집에 나서자 의약계에서는 상업적 활용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경계했다.

[의약뉴스]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이 공격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나서자 의약계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비대면 플랫폼 업체들은 최근 코로나19 환자가 줄어들면서 이용자가 감소하자 새로운 생존 모델을 물색하고 나섰다.

개인의 건강 습관 관리 서비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사업모델을 도입하기 시작한 것.

실제로 일부 업체들은 사용자의 걸음 수에 따라 소모된 칼로리를 안내하고, 미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을 독려하고 있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지나가고 시장 상황이 변화하고 있다”며 “업체들도 이제는 기존과 다른 운영 방향을 마련해야 해 다양한 시도들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단순히 진료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관리까지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싶다”며 “조만간 이와 연동해 건강 습관을 만들 수 있는 추가 서비스도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업체들은 이용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Q&A 코너를 신설하거나, 자체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새로운 수익 구조를 모색하고 있다.

이처럼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나서자 의약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개인의 건강데이터를 수집, 이를 마케팅에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한 의약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대기업들이 가장 바랐던 것은 휴대전화나 스마트 워치 등과 연계해 수집한 건강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일”이라며 “아직은 기업이 개인의 건강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정부에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어 접근 불가 영역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규제 개혁을 외치며 기업들의 데이터 활용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개인의 건강데이터를 수집하는 일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대기업보다 더 위험한 것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이 건강정보에 접촉하는 일”이라며 “이들은 개인의 건강정보를 수집해  곧바로 진료와 연결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혈당수치나 심박수, 수면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 정보를 플랫폼이 가져오면 사용자의 상태에 맞춰 건기식을 추천하거나 원스톱 진료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런 흐름은 결국 플랫폼이 이익을 위해 개인의 건강정보를 악용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업체들의 서비스 확장 방향이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