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9 17:22 (금)
[IMKASID 2022]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최선의 선택은?
상태바
[IMKASID 2022]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최선의 선택은?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05.14 0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제별 특성 달라...“근거+경험+환자ㆍ의사 동의에 따라야”

[의약뉴스] 염증성장질환에서 생물학적제제와 JAK 억제제 등 일부 소분자 화합물이 빠르고 강력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최적의 선택을 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대한장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IMKASID 2022)에서 이탈리아 비타 살루트 산 라파엘 대학 실비오 다네즈 박사는 다양한 연구를 기반으로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선택의 근거를 제시했다.

▲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대한장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IMKASID 2022)에서 이탈리아 비타 살루트 산 라파엘 대학 실비오 다네즈 박사는 다양한 연구를 기반으로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선택의 근거를 제시했다.
▲ 13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대한장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IMKASID 2022)에서 이탈리아 비타 살루트 산 라파엘 대학 실비오 다네즈 박사는 다양한 연구를 기반으로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선택의 근거를 제시했다.

그는 먼저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선택에 있어 안전성과 유효성은 물론 임신, 합병증, 수술 여부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첫 번째 치료제를 선택함에 있어 직접 비교임상(Head-to-Head Trial)과 메타분석, 실제 임항 현장 자료(Real-World Data, RWD) 등을 고려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직접 비교 임상에서는 국내에서 가용한 옵션 중 베돌리주맙(제품명 킨텔레스, 다케다)이 아달리무맙(오리지널 제품명 휴미라, 애브비)와 비교해 우월성을 입증한 VARSITY 임상을 소개했다.

궤양성대장염 환자에서 베돌리주맙의 임상적 관해율이 31.3%로 22.5%의 아달리무맙보다 8.8%p 더 높았다는 것.

다음으로 궤양성 대장염 1차 공고요법에서 진행된 다양한 임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소개하면서 TNF-α 억제제와 항 인테그린 억제제, 인터루킨 억제제 등 생물학적제제와 JAK 억제제가 모두 위약보다 긍정적인 데이터를 내놓았으나, 베돌리주맙과 인플릭시맙(오리지널 제품명 레미케이드, 얀센)이 가장 강력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2차 치료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에서도 생물학적제제와 JAK억제제는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크론병 역시 1차 공고요법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에서 생물학적제제들이 모두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여준 가운데 인플릭시맙과 아달리무맙이 강력한 효과를 보였으며, 2차 치료에서는 아달리무맙과 우스테키누맙(제품명 스텔라라, 얀센)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베도리주맙은 그렇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어 크론병 관련 직접비교임상으로는 지난해 미국 소화기질환 연례회의에서 발표된 크론병 관련 직접비교 임상 SEAVUE를 소개했다. 

이 연구에서 우스테키누맙과 아달리무맙은 1차 평가변수(CDAI 지수 150 이하 달성)에서 두 치료제간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실비오 박사는 각 약제의 주요 이상반응을 조명하면서 베돌리주맙과 우스테키누맙이 가장 안전하며 다음은 TNF-α 억제제 단독요법, 이어 티요퓨린이나 토파시티닙(제품명 젤잔즈, 화이자), 마지막으로 티오퓨린과 TNF-α 억제제 병용요법 순으로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근거들을 종합 실비오 교수는 염증성장질환 치료제 선택지를 TNF-α 억제제와 항 인테그린제제, 인터루킨 12/23 억제제, 토파시티닙(JAK억제제) 등 4가지로 구분, 합병증, 장외 증상, 임신, 병용요법 필요성, 유효성 근거의 강도, 안전성 등에 따라 비교했다.

이어 4가지 선택지 모두 높은 효과를 보여준다고 언급하고, TNF-α 억제제에 대해서는 효과가 빠르며 용량조절이 가능하고, 피하주사제와 정맥주사가 모두 가능하며, 안전성 프로파일이 잘 알려져 있고, 소아나 고령자, 임신부, 수술 후, 누공성 질환, 중증 급성 궤양성대장염, 장오증상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다음으로 항 인테그린 제제에 대해서는 효과가 빠르고, 정맥주사제와 피하주사제 모두 선택 가능하며, 가장 안전하고, 직접 비교 임상 데이터가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소아나 고령자 임신부, 일부 장외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나  수술 후, 누공성 질환, 중증 급성 궤양성대장염, 일부 장외 증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전했다.

이어 인터루킨 12/23 억제제에 대해서는 정맥주사와 피하주사를 선택할 수 있고, 재공고요법이 가능하며, 안전하고, 직접비교 임상 데이터가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소아와 수술 후, 누공성 질환, 중증 급성 궤양성대장염, 일부 장외증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JAK억제제에 대해서는 경구제로 순응도가 좋지만, 소아, 임신부, 수술 후, 누공성 질환, 중증 급성 궤양성대장염, 일부 장외 증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근거들을 종합, 실비오 교수는 최종적인 약제 선택은 근거와 경험, 환자와 의사의 동의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