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4 18:59 (수)
[ESMO B.C] 엔허투, 뇌 전이 유방암에서도 가능성 확인
상태바
[ESMO B.C] 엔허투, 뇌 전이 유방암에서도 가능성 확인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05.05 0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개내 반응률 73.3%...무진행 생존기간 14개월

[의약뉴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항체약물결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뇌전이 유방암 환자에서도 가능성을 확인했다.

▲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항체약물결합체항체약물결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뇌전이 유방암 환자에서도 가능성을 확인했다.
▲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항체약물결합체항체약물결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뇌전이 유방암 환자에서도 가능성을 확인했다.

4일(현지시간) 진행된 유럽종양학회 유방암 학술대회(ESMO Breast Cancer 2022)에서는 뇌전이가 있는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TUXEDO-1 임상 결과가 공개됐다

TUXEDO-1 치료되지 않은 뇌전이가 처음으로 진단 됐거나 국소 치료에서 뇌전이가 진행된 HER-2 양성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단일군 임상 2상이다.

공개된 연구 결과는 중앙 추적관찰 11개월 시점의 자료로, 15명 모두 한 차례 이상 엔허투를 투약했으며, 이 가운데 1명은 기저시점에 경막 전이가 확인돼 유효성 분석에서 제외됐다.

분석 결과 연구의 1차 평가변수인 두개내 반응률은 전체 환자에서 73.3%(11명/15명), 경막 전이 환자를 제외한 환자군에서는 78.6%(11명/14명)으로 집계됐다.

또한 2차 평가변수인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14개월로 나타났다.

안전성에 있어서는 9명의 환자에서 용량 감량이 필요했고, 4명에서 심각한 이상반응이 확인됐다. 2급 간질성 폐렴과 좌심실 박출량의 증상적 저하가 각각 1명씩 관찰됐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엔허투가 중추신경계에서 중요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며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