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3-29 18:51 (금)
의원급 재택치료, 일부 보건소 비협조로 난항
상태바
의원급 재택치료, 일부 보건소 비협조로 난항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1.12.23 1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늘어난 의료기관에 행정적 업무로딩 우려..."코로나19 위기에 힘 합쳐 대응해야"
▲ 폭증하는 코로나19 확진자 관리를 위해 서울시와 서울시의사회가 의원급 의료기관 재택치료 사업을 시작했지만, 일부 보건소의 비협조로 사업 진행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
▲ 폭증하는 코로나19 확진자 관리를 위해 서울시와 서울시의사회가 의원급 의료기관 재택치료 사업을 시작했지만, 일부 보건소의 비협조로 사업 진행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

또 다시 찾아온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일일 확진자는 5000~7000명을 육박하고 위중증환자도 크게 늘어, 의료체계에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폭증하는 확진자 관리를 위해 서울시와 서울시의사회가 의원급 의료기관 재택치료 사업을 시작했지만, 일부 보건소의 비협조로 사업 진행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박명하)는 지난 13일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코로나19 재택치료관리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출범식을 개최했다.

서울시의사회에 따르면, 의사회 산하에 서울시재택치료 협의체, 구의사회 재택치료운영단을 운영한다. 

서울특별시 재택치료 협의체는 서울시의사회 5인 이하, 각구의사회 25인, 대한의사협회 추천 1인, 시청 시민건강국장, 각구보건소장협의회 대표소장이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됐으며, 각구의사회 재택치료운영단은 각구의사회 5인 이하, 서울시의사회 추천 1인, 구청 1인, 구 보건소 1인, 그 외 운영단 운영에 필요한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해 재택치료 참여의료기관의 선정과 해제, 그 밖의 원활한 운영을 논의한다.

서울시의사회가 만든 재택치료 관련 의원급 의료기관의 서울형 모델은 낮 시간대의 외래진료 여건을 확인해 참여 가능한 의원과 2인 이상의 의사로 운영되는 의원이 대상인 ‘1개소 의료기관 모델’, 그리고 2개소 이상의 의료기관으로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는 두 가지 모델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흡기질환 진료경험이 있는 1차 의료기관 소속 의사를 대상으로, 재택치료 참여의료기관 선정 시 해당 의료기관의 역량과 운영상황을 잘 알고 있는 동료 의사로 구성된 ‘구의사회 재택치료운영단’에서 선정하게 된다.

1개소 의료기관 모델은 담당 의사 1인당 환자 50명 미만을 관리하며, 코로나19 확진자 상황과 운영능력 등을 감안해 구의사회 재택치료 운영단에서 최대 50명까지 추가배정하고, 담당 의사 1인 추가 시 최대 100명 환자 추가배정이 가능하다.

컨소시엄 모델은 2개소 이상의 의료기관의 의사로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하며, 1개 컨소시엄 당, 환자 100명 미만으로 운영, 구의사회 재택치료운영단에서 최대 50명 추가배정이 가능하다.

담당 간호 인력 구성 기준은 재택치료환자 20명 이하일 경우 담당 간호 인력 1명, 50명 이하면 담당 간호 인력 2명, 100명 미만이면 담당 간호 인력 3명, 100명 이상이면 4명 이상으로 구성됐다.

재택치료환자 배정시 관리가 용이하도록 재택치료 참여의료기관에 기등록된 환자 위주로 배정할 계획이다.

의원급 의료기관 재택치료 모델은 ▲환자 건강모니터링(1일 오전/오후 총 2회, 앱 활용 가능 환자는 1회를 앱으로 대체 가능) ▲비대면 상담 및 처방 실시(이상징후 발견 시 안부 즉시 확인 및 비대면 진료 실시, 응급상황에 대한 판단 및 이송 요청) ▲의료진 메모(생활치료센터 진료지원시스템에 증상/처방/환자변경상태 등 입력) ▲환자 응급상황 콜 수신 시 지자체 보건소에 전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문제는 만반의 준비 이후 사업을 시작했지만, 서울시 내 일부 구 보건소에서 소극적으로 대응하거나 의원급 의료기관에 재택환자를 의뢰하지 않는 사례가 나오고 있는 것.

한 의료계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시 산하 25개구 보건소 중 대부분 사업에 적극 협조하고 있지만 일부 보건소에서 현재 병원급 의료기관이 진행 중인 재택치료에 의존하려는 분위기다.

이 관계자는 “일부 보건소에서 의원급 재택치료에 대해 타 지역의 눈치를 보면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기존 병원급 의료기관 의뢰만 고집하면서 사업 추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복지부, 질병청, 서울시 차원에서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일부 보건소에서는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을 인지한 서울시의사회는 지자체장을 각각 만나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긴밀한 협조를 당부하는 등 분위기 환기에 나서고 있다. 

박명하 회장은 “보건소 측에서는 50여개의 의원급 의료기관이 재택치료를 등록한다고 하니 행정적인 업무로딩의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라며 “또 현재 병원급에서 진행되는 재택치료가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의원급의 심야 진료에 대한 불안감도 존재한다”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코로나 확진자를 24시간 관리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덜고자 지난 16일 이세라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서울시 재택치료 지원센터’도 개소하면서 심야 진료에 대한 대응책까지 마련해놓은 상황이다.

박 회장은 “확진자 폭증으로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관리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 따라서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분담해 관리하는 것이 현시점에서는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 코로나 극복을 위해서 병원급 의료기관은 중증환자, 입원, 단기외래 등에 집중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이 재택치료를 커버하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산하에 25개구가 있는데 이 사업에 대한 온도차가 있는 분위기이다. 사업에 적극 뛰어든 보건소가 있는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 의뢰 시스템에 안주하려는 보건소나 다른 보건소는 어떻게 사업을 진행할지 눈치만 보는 지역도 있다.

서울시 재택치료 지원센터 이세라 센터장도 “전 국민이 코로나로 고통 받는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민간단체와 서울시 각 구청 소속 보건소가 힘을 합쳐야 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라며 “처음이라 모두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국민 건강을 위해 서로 협조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