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티스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T(CAR-T) 세포 치료제 킴리아(성분명 티사젠렉류셀)가 림프종 2차 치료제로 효능을 입증하는데 실패했다.

노바티스는 24일(현지시각) 1차 치료에 대한 반응이 부족하거나 재발한 공격적인 B세포 비호지킨림프종(NHL) 환자를 대상으로 킴리아를 평가한 임상 3상 BELINDA 시험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임상시험에서는 킴리아와 표준요법을 비교했을 때 1차 평가변수인 무사건 생존기간 개선 목표가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표준요법은 고용량 화학요법 및 조혈모세포 이식에 반응을 보인 환자에서 후속 구제 항암화학요법이었다.
킴리아의 안전성 프로필은 확립된 프로필과 일치했다.
노바티스는 BELINDA 데이터에 대한 전체 평가를 완료하고 차후 결과 발표를 위해 연구자와 협력할 예정이다.
미국 시카고대학교 의과대학의 마이클 비숍 교수는 “우리는 BELINDA 연구에서 킴리아가 도움이 필요한 환자의 결과와 전반적인 치료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길 희망했다”며 “연구진은 향후 몇 주, 몇 개월 동안 노바티스와 협력하면서 이러한 결과에 기여한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바티스의 종양학&혈액학 개발부 글로벌 총괄 제프 레고스 부사장은 “1차 치료에 불응한 공격적인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는 취약하며, 우리는 BELINDA 연구가 이 환경에서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키지 못해 실망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킴리아는 3차 치료 환경에서 특정 진행성 혈액암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반응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며 “당사는 킴리아와 차세대 CAR-T의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가오는 의학 학술대회에서 이러한 치료제에 대한 초기 임상 결과를 공유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에서 킴리아는 25세 이하의 환자에서 2차 재발 또는 그 이후 재발하거나 불응성인 B세포 전구 급성 림프성 백혈병 치료제, 두 가지 이상의 전신요법 이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인 달리 명시되지 않은 거대B세포림프종(DLBCL) 및 고등급 B세포 림프종 및 소포림프종에서 발생한 DLBCL을 앓는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