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약청(EMA)의 자문위원회가 블루버드 바이오(bluebird bio)의 희귀질환 유전자 치료제 스카이소나(Skysona, elivaldogene autotemcel)의 승인을 권고했다.
미국 생명공학기업 블루버드 바이오는 21일(현지시각) 유럽의약청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가 ABCD1 유전자 변이가 있고 사람백혈구항원(HLA) 일치 형제자매 조혈모세포(HSC) 공여자가 없는 18세 미만의 초기 대뇌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CALD) 환자를 위한 1회 투여용 유전자 치료제 스카이소나의 판매 허가를 권고하는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했다고 발표했다.

스카이소나는 유럽 집행위원회(EC)에 의해 승인될 경우 대뇌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 치료를 위해 승인된 최초의 1회 투여용 유전자 치료제가 될 수 있다.
대뇌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은 소아기에 발생하며 점진적인 비가역적 신경기능 손상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희귀 신경퇴행성질환이다.
CHMP의 긍정적인 의견은 판매 허가를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유럽 집행위원회에 의해 검토될 예정이다.
CHMP의 권고는 신약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이전의 최종 단계 중 하나다.
스카이소나에 대한 유럽 집행위원회의 결정은 올해 중반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은 주로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희귀 X염색체 연관 대사 장애다.
이 질환은 ABCD1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부신백질형성장애 단백질 생산에 영향을 미쳐 주로 부신과 뇌 및 척수의 백질에서 매우 긴사슬 지방산의 독성 축적을 유발한다.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이 있는 남아 가운데 약 40%는 가장 심각한 유형인 대뇌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을 앓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뇌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은 사고와 근육 조절을 담당하는 뇌 신경세포의 보호물질인 미엘린의 파괴를 수반하는 신경퇴행성질환이며 대개 아동기에 증상이 발현된다.
스카이소나는 블루버드 바이오의 렌티-D(Lenti-D)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통한 생체 외 형질도입을 사용해 ABCD1 유전자 카피를 환자의 조혈모세포에 추가하는 1회 투여용 유전자 치료제다.
ABCD1 유전자 추가는 매우 긴사슬 지방산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신백질형성장애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스카이소나 치료의 목표는 질병 진행을 안정화하고 운동 기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포함해 가능한 한 많은 신경 기능을 보존하는 것이다.
이번 CHMP의 권고는 임상 2/3상 Starbeam(ALD-102) 시험에서 나온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임상시험의 데이터 확정 시점에서 스카이소나 치료군 30명 가운데 90%는 1차 평가변수인 2년 동안 주요 기능장애(MFD)가 발생하지 않고 생존한 기간에 관한 목표에 도달했다.
환자 2명은 연구자의 재량에 따라 연구를 중단했는데 1명은 급속한 질병 진행으로 인한 주요 기능장애 발생 후 사망했다.
스카이소나는 장기 추적 연구에서 최대 약 7년(82.7개월) 동안 MFD가 없는 생존기간에 대한 지속적인 효과를 보였다.
현재까지 다수의 임상시험을 통해 스카이소나로 치료받은 환자 51명에서 이식편대숙주병(GVHD), 이식 실패 또는 거부반응, 이식 관련 질병은 보고되지 않았다.
블루버드 바이오의 임시 최고의료책임자 리처드 콜빈 박사는 “CHMP의 이 긍정적인 의견은 CALD 유전자 치료제에 대한 최초의 승인 권고를 의미한다”며 “이를 통해 신경학적 질환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과 관련된 심각한 면역 합병증 위험을 감소시키는 지속적인 1회 투여용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데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말했다.
블루버드 바이오는 미국 내에서는 올해 중반까지 스카이소나에 대한 생물학적제제 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스카이소나를 희귀의약품, 희귀 소아질환 의약품, 혁신치료제로 지정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