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4 18:59 (수)
심평원 ‘일련번호 보고’ 연착륙 자평, “소통 통해 제도 정착"
상태바
심평원 ‘일련번호 보고’ 연착륙 자평, “소통 통해 제도 정착"
  • 의약뉴스 신승헌 기자
  • 승인 2020.02.05 0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조ㆍ수입사’ ‘도매업체’ 보고율 90%↑
심평원 유미영 센터장 “행정처분 ‘0’ 지향”...‘맞춤형 컨설팅’ 계획

출하 시 일련번호 보고율이 ‘제조ㆍ수입사’, ‘도매업체’ 모두 평균 90퍼센트를 넘겼다. 제도 시행 전 상황을 생각하면 연착륙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국민의 안전한 약물 사용’,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 등을 위해 의약품 유통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소포장 단위의 개별의약품에 고유번호(일련번호)를 부여해, 의약품이 생산될 때부터 소비자에게 복용될 때까지의 전체 유통단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일련번호 보고 제도’를 운영한다.

통과의례처럼, 심사평가원이 새 시스템인 ‘출하 시 일련번호 보고’ 제도를 시행하려 할 때 많은 우려가 나왔다. ‘바코드 일원화’를 비롯해 ‘비용’ 문제 등이 규제대상의 제도 수용을 가로막았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유미영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장.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유미영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4일 심평원에 따르면, 2019년도 출하 시 일련번호 보고율은 제조ㆍ수입사의 경우 평균 98.9%, 도매업체는 90.4%로 확인됐다.

물론 제도 시행 과정을 충분히 알고 있는 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유미영 센터장은 “유통업체도, 심평원도 (일련번호 보고제도 적응에) 굉장히 힘들었다”고 4일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제도를 징벌적 차원에서 운영할 게 아니라 정책대상과 좀 더 소통하면서 제도를 정착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유 센터장은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 2년차를 맞는 올해에는 행정처분 ‘Zero’를 지향하겠다”고 말했다. 처분보다는 소통ㆍ계도ㆍ안내에 방점을 두겠다는 이야기다.

이와 관련해 심평원은 ‘현황분석→관리대상 선정→현장중심 교육→의견수렴→제도 개선사항 발굴’로 이어온 업무절차에 올해부터 의견수렴 전에 ‘맞춤형 컨설팅’을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유관단체 소통은 물론 찾아가는 서비스(1:1 컨설팅 등)를 확대하겠다는 안(案)도 마련했다.

다만,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위해의약품 유통 차단 및 불법유통 점검은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심평원은 ‘정기’ 또는 ‘특별’ 점검 방식으로 올 한 해 동안 서면확인을 통해 200개소, 현지확인을 통해 60개소(도매 52개소, 제조 8개소)를 살필 예정이다.

심평원 유미영 실장은 “2008년부터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가 의무화되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향후 10년을 준비할 시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