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6 23:33 (화)
“수면장애 증가 맞춰 수면산업 육성해야”
상태바
“수면장애 증가 맞춰 수면산업 육성해야”
  • 의약뉴스 한지호 기자
  • 승인 2019.11.27 0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산업진흥원 토론회..."관련 제도 마련 시급"
▲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수면 위로 떠오른 수면산업 그 향방은’을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수면관련 질환 유병인구가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해 수면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위한 장기적인 정책 및 제도적 지원과 전문인력양성, 의료기관 가이드라인 제공 등 구체적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지난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윤종필 자유한국당 의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최로 열린 ‘수면 위로 떠오른 수면산업 그 향방은?’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먼저 첫 주제발표를 맡은 김선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국민의 수면 실태’를 주제로 수면에 관련한 의료비, 질환, 장애 등의 현황을 발표했다.

▲ (좌측부터) 김선정 교수, 유태규 교수, 이행신 단장.

김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7.1시간으로, 연령대별로 적게는 21.3%(30세~39세)부터 많게는 56.1%(16~18세)까지 수면 부족자 비율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선정 교수는 “6년간(2013~2018년)의 건강보험 빅데이터 자료를 통해 수면장애 관련 청구 건수는 2013년 237만건에서 360만건으로 151%, 진료비는 530억원에서 1102억원으로 208%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체 의료비는 6년간 연평균 10.4% 증가한 것과 비교해 수면장애 관련 의료비는 15.8%로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태라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이와 관련 약품 처방액도 늘고 있다”며 “졸피뎀을 중심으로 처방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남서울대학교 유태규 교수는 ‘수면산업 실태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유 교수는 발표에 앞서 수면산업을 ‘수면장애의 진단 및 치료에 필수적인 재화의 생산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과 보다 좋은 수면상태를 지원하는 제품의 생산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산업’이라고 정의했다.

수면 산업의 상품분류로는 ▲매트리스/침구류 ▲수면질환관리 의료서비스ㆍ의료기기ㆍ의약품 ▲수면유도 ▲수면모니터링 ▲수면서비스 등을 소개했다.

이처럼 국내외에 수면과 관련한 다양한 상품이 있지만 유 교수는 상품이 실제 수면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유태규 교수는 “수면 환경을 조성에 기능성 제품을 도입할 때의 효과가 의학적 증거가 아직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단순히 수면행위에 나타나는 표피적인 현상에 집중하는 것은 정책적 접근의 근거가 되지 않는다”며 “수면과 관련해 문화적이고 정서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 수립을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세 번째 발제로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단장은 ‘수면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수면산업이 나아갈 길에 대해 발표했다.

이 단장에 따르면 수면질환과 관련한 의료서비스는 아직 제도적으로 갖춰지지 못해 의료기관이 애로사항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행신 단장은 “11개 의료기관을 인터뷰한 결과 ‘수면장애의 정상과 질환의 경계가 모호해 객관적 검사를 통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검사 인력이 부족하다’ ‘수면다원검사 비용 등 관련 수가 조절이 필요하다’ 등의 응답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단장은 “우리나라의 수면산업은 전문인력 양성 체계 구축, 전문성강화, 법체계 정비와 해외진출 활성화 등 제도개선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건강보험 관계자와 학계, 산업계 관계자들이 수면산업에 관련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주원석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부장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의 일환으로 양압기에 대한 급여와 수면다원검사의 건강보험 적용이 시행되고 있어 향후에는 보장성 강화의 효과분석도 추가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연구위원은 “수면산업은 섬유, 침구, 가구, 의료, 제약 등 다양한 산업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시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우선순위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