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7 06:17 (수)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 80% ‘자살충동’
상태바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 80% ‘자살충동’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9.11.17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통증학회 설문조사 결과 발표...“사회적 관심 필요”
▲ 대한통증학회 전영훈 회장이 CRPS환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부 차원의 지원을 호소했다.

대한통증학회(회장 전영훈)가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고 나섰다.

CRPS 환자 중 상당수가 경제력을 잃고, 신체 뿐 아니라 정신적 장애로 이어져 대다수가 자살의 위기에 놓인다는 충격적인 설문조사를 들고 나온 것.

스스로 병원마다 다른 진료 체계를 표준화하고 CRPS에 대한 연구에 힘을 쏟겠다는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국민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을 호소했다.

대한통증학회는 추계 국제학술대회(KPS 2019 Annual Meeting)가 진행되고 있는 17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251명의 CRPS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37개 수련병원(통증학회 3차 수련기관)에서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간 진행된 설문 결과, 환자들은 대부분 20~50대, 즉 사회 경제적 활동기의 연령층이었다.

실제로 조사대상 중 80%는 CRPS 발병 전 경제활동을 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응답자 중 84%가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으며, 사회활동을 통한 수입이 전혀 없다고 답한 응답자도 84%에 이른 것.

CRPS는 대부분 사고 등 외상으로 시작됐으며, 유발 요인은 사고 등에 의한 수술, 골절 및 그에 따른 부목 고정 등으로 조사됐다.

발병 초기에는 상지나 하지 등 한 부위에서 시작해 현재 절반 이상은 두 가지 이상의 부위로 이환됐다.

현재의 통증 정도는 61%가 7점 이상으로 답해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고, 이로 인해 55%정도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뿐만 아니라 통증으로 인해 평균 수면 시간도 4.9시간에 불과했고, 특히 전체의 절반 정도가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4시간에도 이르지 못했으며, 이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3시간 정도로 집계됐다.

문제는 치료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환자들 중 60% 이상은 통증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답한 것.

이처럼 통증으로 인한 고통과 그에 따른 경제력 저하, 만족스럽지 못한 치료효과 등 신체적, 정신적 고통으로 인해 정신과 약물이나 마약성진통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가 80%에 달했고, 실제 자살 충동을 경험한 환자도 80%에 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는 통증 치료에 산재보험이나 자동차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어 경제적 어려움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CRPS의 삶의 질(WHOQOL-BREF)은 모든 항목에서 척수장애 환자보다 더 낮았다는 것이 학회측의 설명이다.

이에 학회는 통증을 장애판단 기준에 포함해 이들에게도 제도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최근 고등법원에서 통증 역시 장애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판시했으며, 국회에서도 이를 요구하고 나섰다는 것이 학회측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학회는 아직 원인이나 치료법이 명확하지 않아 CRPS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병원별로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이를 표준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대한통증학회 박휴정 기획이사는 “CRPS는 대부분 생계에 집중해야 할 청중장년층이 많지만, 직업이 유지되지 않는 비율이 높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 감정적 괴리와 심리적 좌절을 겪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CRPS는 통증의 측면에서도 굉장히 심한 중등도의 질환일 뿐 아니라, 삶의 질도 굉장히 떨어진다”면서 “진료의 표준화도 필요하고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해, 설문조사 결과가 앞으로 이에 대해 연구하고 일원화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또한 대한통증학회 전영훈 회장은 “CRPS는 많은 연구를 진행 중이지만 아직 잘 알지 못하는 질환”이라면서도 “상당히 난치성의 통증 환자로 경제적 활동이 어려운 만큼, 우리가 아무리 열심히 환자를 본다 하더라도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