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3-29 23:03 (금)
질본, 항생제 내성균 관리 병원체 전수조사
상태바
질본, 항생제 내성균 관리 병원체 전수조사
  • 의약뉴스 김홍진 기자
  • 승인 2019.10.15 1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8개 병원 기점...항생제 내성 표준화 목표
▲ 질병관리본부 이광준 연구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본부 등 관계부처가 2021년부터 24년까지의 항생제 관리방안 대책 2단계 전략을 수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협의체 출범으로 항생제 관리에 나선 정부는,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 간 관계를 비교, 인체 뿐 아니라 축산물 등 비 인체에서도 나타나는 높은 항생제 사용률에 대한 관리에 착수했다.

질병관리본부 이광준 연구관(사진)은 항생제 내성에 대한 관리대책에 대해 ▲사용량 감소 추진, ▲미생물 스크리닝, ▲전염 방지 대책 마련, ▲인체-비인체간 전염 방지라는 4가지 큰 목표가 설정돼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연구관에 따르면 최근 국내 항생제 사용량은 32DDD(항생제 1일 사용량). 이는 OECD 평균인 19DDD를 크게 넘어서는 수치다.

이 같은 결과는 곧 항생제 내성률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이 이 연구관의 설명이다. 최근 항생제 내성균주가 문제시 되고 있다는 것.

2016년부터 2018년 까지 조사에 따르면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증)은 감소했으나 VRE(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 감염증)은 오히려 증가했고 이 같은 수치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높은 수치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항생제 내성률 증가는 국가적으로 질병 부담률을 높이고, 환자 입원기간을 길어지게 하며 사망률을 높인다”라며 “한 대학병원은 항생제 내성균 감염환자에 대한 장기추적조사 결과 박테리아 관련 환자에서만 약 55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발표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연구관은 WHO 회원국이 공동 추진 중인 국제 표준 관리방안 구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015년 WHO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신종플루, 사스 이후 인류를 위협할 감염병’이라 표현하며 이슈화 했고, 이후 회원국들은 WHO의 권장사항에 따라 국제 표준 마련에 착수했다.

회원국 간 수치를 취합했으나 수치를 산출하는 계산식이나 단위 등이 달랐기에 일관된 프로세스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후 2017년 WHO는 항생제 내성 관리가 인체 뿐 아닌 비인체 영역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발표하며 식품에 대한 감시 체계를 마련했다. 특히, ESBL을 생성하는 E.coli에 대한 집중 감시를 선언하기도 했다.

이에 발맞춰 국내 항생제 내성균 수행과제 운영 역시 활발히 이뤄졌다. 국내 합의체는 ▲Kor-GLASS 수집, ▲사업 구성, ▲인체분야 다제내성균 감시체계 구축을 통한 항생제 내성 관리에 나섰고 그 결과, 인체 및 비인체에 대한 항생제 사용량을 3~4DDD정도 줄였다.

이 연구관은 “현재 Kor-GLASS를 통해 항생제 내성을 표준화해 범국가적 관리체계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전국 6개 병원을 시작으로 병원체 전수조사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연 내에 8개로 확대, 추후 11개 병원을 통한 전수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