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3 12:12 (화)
글로벌제약사, 국내 R&D 투자 늘었지만 건수 제자리
상태바
글로벌제약사, 국내 R&D 투자 늘었지만 건수 제자리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9.09.19 16: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RPIA 31개사 대상 조사결과 발표..."제도적ㆍ정책적 배려 필요"

글로벌 제약사들의 국내 R&D 투자비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 회장 아비 벤쇼산)는 31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2018년 국내 R&D 투자 현황’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31곳에서 2018년 임상연구에 투자된 R&D 총비용(해외 본사에서 직접 외주한 R&D 비용 제외)은 약 4706억원으로 추산됐다.

2016년부터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조사에 참여한 28개 회원사를 기준으로 증감률을 살펴보면, 전체 R&D 투자 비용이 2017년 4000억원에서 2018년 4641억원으로 전년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제약사의 임상연구용 의약품 직접비 역시 증가했다. 2018년에는 전년(2017년 1290억원) 대비 19.3% 증가한 1540억원이 임상시험용 의약품 직접비로 사용됐다.

 

임상연구를 위해 국내 환자들에게 무상으로 의약품을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치료기회를 부여하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는 것이 KRPIA측의 평가다.

연구 인력 역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31개사의 2018년 R&D 인력은 총 1717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28개 회원사는 1678명으로  전년(2017년 1551명) 대비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고급 연구인력 고용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임상연구 건수는 큰 차이가 없었다. KRPIA측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 31곳에서 총 1486건의 임상연구가 수행됐다.

특히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조사에 참여한 28개 회윈사의 2018년 임상연구 건수는 1192건으로 전년(2017년 1196건)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초기(1상) 임상시험 건수는 2017년 대비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1개 글로벌 제약사에서 응답한 2018년 전체 임상연구 중 암과 희귀질환 임상연구 비율은 각각 49%(583건), 5%(63건)로 전체 임상연구 중 암과 희귀질환 환자를 위한 임상연구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임상연구를 통해 암환자와 희귀질환 환자들의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조기 접근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다만, KRPIA측은 “암과 희귀질환 임상시험 건수가 전년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으로 최근 몇 년간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 접근성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해당 영역의 신약에 대한 제도적ㆍ정책적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고 언급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글로벌 제약사들은 임상연구를 통한 R&D 투자 뿐만 아니라, 기초 연구지원(10건), 비 임상시험(3건), 국내 개발 물질 도입, 국내 제약사 및 연구소와 공동 개발, 국내 병원 및 단체와의 연구 개발을 위한 협약 등(42건) 다양한 공동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었다.

특히 국내 대학과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34건)을 통해 국내 신약 개발 역량 함양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KRPIA측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RPIA는 “전세계 제약사 주도의 임상시험 프로토콜 국가별 비율에서 한국은 2017년 5위(3.51%)에서 2018년 6위(3.39%)를 기록했다”면서 “중국이 최근 의약품 및 임상시험용 의약품 허가 제도개혁 등 규제개혁을 통해 5위(3.7%)에서 3위(4.66%)로 두 단계 상승했는데, 이는 우리나라도 임상시험의 경쟁우위를 지속하고 투자 매력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다국적 초기 임상시험 참여 기회 확대는 물론 글로벌 R&D 투자를 유치하여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유관 부처의 적극적인 관심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