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4 10:51 (수)
정부,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에 258억 투자
상태바
정부,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에 258억 투자
  • 의약뉴스 신승헌 기자
  • 승인 2019.06.13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로젝트 착수...개발 기간·비용 대폭 단축 목표

정부가 인공지능·신약 개발 전문가로 이뤄진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한다. 여기에 3년간 258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 계획을 13일 밝혔다.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로 명명된 이번 사업은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특히, 기술개발의 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R&D비용과 긴 기간이 필요해 규모가 제한적인 국내 제약사에게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했다”며 “하지만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고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서는 신약 개발의 첫 단계인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돕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위해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학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자대학교 4개 팀이 연구를 수행한다.

기관별로 보면, 주식회사 아론티어는 서울 아산병원 유전체 데이터, 간(肝) 오가노이드(줄기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만든 장기 유사체) 실험 데이터 등을 활용해 폐암·뇌암 등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중앙대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의 단서가 되는 단백질을 예측해 퇴행성 뇌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복재단은 유한양행 등 주요 제약사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표적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화여대는 항암제, 섬유화 치료제를 연구하면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된다. 재창출된 신약의 경우 기존의 임상 허가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됐던 약품인 만큼 추가 임상기간이 짧아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이 있다.

‘신약 재창출’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은 기존의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킨다.

특히, 6개의 연구과제를 지원·관리하고, 개발된 인공지능 플랫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빅데이터 확보·관리, 민간 공개를 위한 시스템 구축·운영 등을 수행하게 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약개발 기간을 최대 절반(15→7~8년)까지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며,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해 플랫폼이 계속 최신화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신약개발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