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가 생명공학기업 웨이브 라이프 사이언시스(Wave Life Sciences)와의 계약에서 제휴를 진행할 마지막 치료 표적 2개를 선택했다.
웨이브 라이프 사이언시스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같은 대사성 간 질환에 대한 유전적으로 표적화된 치료제 개발을 위해 화이자와 맺은 제휴계약 하에 4번째 및 5번째 간 표적이 정해졌다고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지난 2년 동안 두 회사는 안티센스, 외가닥 RNA간섭(RNAi) 방식, GalNAc에 관한 웨이브의 입체화학 플랫폼 기술과 화이자의 간 표적화 기술을 활용해 전이성 간 질환 치료를 위한 표적 연구를 진행해왔다. 2016년 5월에 제휴가 개시되면서 표적 2개가 정해졌으며 그 해 8월에 3번째 표적도 정해진 바 있다. 화이자는 후보물질 개발이 시작되면 후속 개발 및 상용화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화이자 내과의학연구부문 모리스 번바움 최고과학책임자는 이 제휴를 통해 나온 고무적인 전임상 생체 내 자료를 고려할 때 웨이브의 특수한 입체화학 플랫폼이 자사의 표적화 기술을 보강하고 치료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플랫폼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약품 개발을 위한 5가지 간 표적을 발견해 기쁘다고 하며 “후보물질 선택을 위해 웨이브와 계속 제휴를 진행하면서 이 개발 추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웨이브는 화이자와의 제휴를 통해 외가닥 RNAi 치료의 잠재성에 대해 연구했다. 웨이브는 이를 간 질환 치료를 위해 사용돼 온 이중가닥 RNAi 방식과 비교했을 때 안정성, 약리학적 측면에서 개선을 가져올 수 있으며 효능이 비슷하거나 더 높은 것으로 증명됐다고 전했다.
웨이브의 폴 볼노 최고경영자는 최종 표적 2개의 지정은 매우 생산적인 화이자와의 제휴에서 또 다른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모든 5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차별화된 스테레오퓨어(stereopure) 후보물질을 화이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