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8 20:22 (목)
범부처 ‘신약개발R&D’ 올해 예타 신청
상태바
범부처 ‘신약개발R&D’ 올해 예타 신청
  • 의약뉴스 정흥준 기자
  • 승인 2018.04.20 0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개 부처 합의...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추진

신약개발 지원 확대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보건복지부·산업통산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3개 정부 부처가 R&D 투자를 공동 추진한다.

3개 부처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등의 형태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기로 합의했다. 주관부처는 복지부가 맡았으며, 이로 인한 R&D 투자의 적정 지원 등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복지부는 건보공단, 심평원, 국립암센터, 질병관리본부 등의 자료를 공공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시범사업을 2년간 진행할 계획임을 밝혔다. 해당 시범사업은 신약개발 연구자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포럼에 앞서 문애리 약학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 어제(19일) 코엑스에서는 대한약학회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공동개최한 서리풀미래약학포럼이 개최됐다.

정부 및 학계, 산업계 관계자들은 신약개발 고충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해결방안 및 협력모델 등을 제시했다.

이날 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는 “제약산업육선방안이 나왔지만 R&D 지원금액이 얼마되지 않는다”며 “학계 및 병원에서의 신약개발도 중요하지만, 국가선순환을 위해서는 기업이 글로벌 진출을 통해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엄승인 상무는 “정부 R&D 투자 금액 중 보건의료 R&D의 비중은 약 8%에 그치는데, 다른나라에 비춰봤을 때 20%까지는 올라와야 한다”며 “정부가 지원금액과 타켓팅을 효율적으로 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신약개발에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한 만큼, 정부는 컨트롤타워를 통해 분절없는 지원이 해야한다고 전했다.

엄 상무는 “긴 호흡동안 제약회사들은 자체 투자와 정부 지원 등을 계획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장기적인 로드맵 등의 맵핑이 이뤄진다면 기업들에게는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일본의 경우 차세대 의료기반법을 시행할 예정으로, 비식별화가 확실한 정보를 사업자가 활용할 수 있는 법안을 제정했다”며 “신약개발에는 데이터가 특히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부딪혀 있고 이를 개정하는 것에 5~6년의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신약개발 R&D 관련 부처간 협력 계획에 대해 전하고, 빅데이터와 관련해선 시범사업 기간 법 개정을 통해 연구자들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답변했다.

복지부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R&D의 양적 부족도 있지만, 잘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도 있다”며 “의료기기 분야를 예로 들면 시장에 쓰이지 않는 의료기기를 만들게 되는 R&D가 이뤄지고 있어 3개 부처가 합동 R&D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신약개발에서도 과기부, 산업부와 R&D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으며, 예타(예비타당성)를 신청하기로 합의를 본 상태라고 밝혔다.

▲ 복지부 양성일 국장.

양성일 국장은 “복지부가 주관할 것이고 공청회도 열어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고 올해 안에 예타를 신청할 것”이라며 “충실하게 잘 엮어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를 나타냈지만, 현행법상 논란의 여지가 있어 법개정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양 국장은 “정보의 소유에 대한 이견도 첨예하기 때문에 빅데이터는 쉬운 것 같으면서도 어려운 과제”라며 “합법이냐 불법이냐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연구자들은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그는 “건보공단,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심평원 등 4개 단체의 정보를 공공목적으로 활용하는 시범사업을 2년간 진행할 것”이라며 “해당 기간 동안 법적 안전장치를 만들어서, 향후 연구자들이 편하게 정보를 쓸 수 있도록 기반을 갖추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데이터 공유 및 활용과 관련해 기업들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서울대 약대 손여원 교수(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장)는 “백신에 대한 아이템을 소개 및 발표하는 자리를 준비하기 위해 기업들에 백신 파이프라인을 요구했었다”며 “하지만 기업비밀이라서 제공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고, 이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라고 질타했다.

손 교수는 “각자가 가지고 있는 아이템이 있고, 도움을 받고 싶어 하지만 그것을 펼쳐놓고 보완 및 협력하려는 마인드가 부족하다”며 “각자가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협력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