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3-28 20:29 (목)
올림픽 숨은 주역 ‘병원약사’ 활약 눈길
상태바
올림픽 숨은 주역 ‘병원약사’ 활약 눈길
  • 의약뉴스 정흥준 기자
  • 승인 2018.03.21 06: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학교 7명 파견...도핑 등 주의약물 검토·관리

30년만에 한국에서 열린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기까지, 선수들 가까이에서 약물관리를 이어온 병원약사들의 활동이 호평을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본원, 분당, 보라매)은 약 4주간의 올림픽 기간 동안 7명의 약사를 강릉 폴리클리닉에 파견했다. 

▲ 강릉 폴리클리닉 파견근무에 참여했던 서울대학교 병원 약사들. 왼쪽부터 김은진, 이현아, 백수정, 문미라, 김보람, 유미현 약사.

‘선수촌의 종합병원’으로 불리는 폴리클리닉은 모범적인 운영으로 올림픽 조직위원회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고, 이에 병원약사들의 활동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 최근 서울대병원에서 진행된 간담회에서 현장 파견 근무를 맡았던 약사들로부터  선수촌 및 폴리클리닉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강릉 폴리클리닉에는 서울대병원 본원에서 4명, 분당 서울대병원에서 2명, 보라매병원에서 1명의 약사들이 참여했다. 본원과 분당 서울대병원에서는 절반으로 나뉘어 2주씩 참여했고, 보라매병원에서는 4주간 지원에 나섰다.  

이날 간담회에서 서울대병원 백수정 약사는 “병원을 벗어나서 활동하는 것이 흔하지 않았고, 30년만의 올림픽이라고 하다보니 관심있게 눈여겨 보다가 참여하게 됐다”며 “폴리클리닉에는 4명이 상주했고, 2명씩 격일로 아침 7시부터 밤 11시까지 근무했다”고 말했다.

약제부는 파견에 앞서 약 한 달 간의 사전준비 기간을 거쳤다. 약물 사용목록을 받아 실질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지 검토하고, 대체품목을 결정하기도 했다. 또 기간동안 약을 얼마나 사용할 것인지 예상 사용량을 추측 및 검토해야 했다.

이와 관련 서울대병원 문미라 약사는 “도핑 목록에 걸리는 약들이 있는지도 검토했고, 대체 약의 적절성 등도 논의했다”며 “2010년 벤쿠버 올림픽 자료를 받아 처방내역을 보고, 사용량을 추측해야 했는데 결과적으로 현장에서는 훨씬 더 많은 약을 사용하게 됐다”고 전했다.

▲ 약사들이 선수들과 함께 찍은 사진들.

이어 문미라 약사는 “처음에는 가벼운 마음으로 지원을 했다가 준비하면서 중요한 일을 맡았다는 책임감이 들었다”며 “약물 등이 잘못 쓰였을 경우에 생기는 도핑 등의 문제들 때문에 다같이 면밀히 검토하는 시간을 가져야 했다”고 말했다.

특히 약물 사용에 있어서 선수들의 도핑 문제는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사안이었다. 따라서 약사들의 약물도핑 검토 및 관리는 폴리클리닉 안에서도 중요시되는 업무였다는 설명이다.

서울대병원 이현아 약사는 “선수, 팀 운영진, 자원봉사자 등 모든 사람들이 대상이었고, 그중 선수들의 경우 도핑에 걸리는 약이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우선적으로 했다”며 “또 선수가 불가피하게 약을 써야되는데 그 약물이 금지약물에 해당될 경우 따로 서류를 작성해 IOC에 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가 있어 이를 관리하는 역할도 했다”고 말했다.

나아가 도핑에 문제가 되는지 모르고 처방된 경우에는 중재활동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분당 서울대병원 김보람 약사는 “도핑에 걸리는 약이 처방된 경우 찾아가서 중재를 했고, 의료진에서 용량이나 약의 종류에 대해 묻는 경우도 있었다”며 “아무래도 병원과 달리 처방이 가능한 약의 종류가 적다보니 약에 대해 약사들에게 묻는 질문이 많았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약사들은 선수들의 복용 약물을 모니터링해 데일리 리포터를 작성하고, 이를 조직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도 맡았다.

폴리클리닉 근무 약사들에 따르면 선수들은 진통제와 호흡기질환 약들을 많이 복용했으며, 빙상장이라는 특징 때문에 안구건조를 호소하며 인공눈물을 찾는 선수들도 상당수였다.

◇초반 안착 후 모범사례로, 일본·중국 문의 쇄도  
서울대병원 이현아 약사는 “일단 초반 2주에는 폴리클리닉 내에 전산망이 구축이 안돼서 수기처방했다”며 “클리닉이 자리를 잡고 셋팅이 되기까지 준비해야할 것들이 많았기 때문에 쉬는 날에도 제대로 쉬지 못했다”고 말했다.

▲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약사들. 왼쪽부터 유미현, 문미라, 백수정, 오유진 약사.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난 뒤에는 올림픽 다음 개최지인 일본과 중국 등의 관계자들이 찾아와 질문을 쏟아내기도 했다.

이현아 약사는 “일본과 중국 관계자가 와서 폴리클리닉을 보고 갔고, 문의를 해서 설명을 드린 얘기들도 많이 있었다”며 “이외에도 폴리클리닉을 찾아와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 선수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올림픽 기간 중 강풍으로 폴리클리닉 천막이 쓰러지는 등 갑작스러운 사고도 있어 현장 근무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문미라 약사는 “강풍에 시설 내부가 망가진 경우가 있었는데 그때 냉장약을 사수하고자 망가진 시설 안에 온도계 측정기기를 들고 들어갔었다”며 “출입구 문 한짝이 날아가는 등 아찔한 순간이었다”고 급박했던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평소 근무하던 병원환경만큼 시스템이 완전하지 않은 병원 밖 근무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반면 시간에 쫓기는 근무 환경이 아니었기 때문에 복약지도 등의 측면에서는 만족도 높은 근무를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김은진 약사는 “주사 파트에서만 일하고 경구약을 많이 경험하지 못했었는데, 가서 좋은 경험을 했다”며 “약품 공급, 수기처방 등에서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한편으론 병원에서의 근무가 좋은 환경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메달의 숨은 조력자, 선수 곁 약사들
이번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낸 한국의 A 선수가 경기를 앞두고 근육 마비 증상으로 폴리클리닉을 찾는 경우도 있었다.

보라매병원 유미현 약사는 “A 선수가 긴장으로 근육 마비와 통증을 호소하며 찾아와, 약사들이 응급실로 모인 적이 있었다”며 “의사는 어떤 종류의 근육이완제가 있는지, 소염진통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도핑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약사들에게 확인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유미현 약사는 “사실 선수들에 대해서 많이 알고 가지는 못했지만, 이렇게 올림픽 일원으로서 참여를 하다보니 막상 경기장에 가서 볼 때 마음가짐이 달라지는 것을 느꼈다”고 전했다.

이에 문미라 약사도 “올림픽은 남의 이야기 같고 현실감이 없었는데, 일하는 공간에서 본 선수들이 경기에 임하는 것을 보니 한결 가깝게 느껴졌다”며 “한 사람의 인생이 걸린 경기에 작게나마 일조했다는 것에 뿌듯함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번 폴리클리닉 근무에 참여했던 약사들은 1년 4개월부터 15년까지 다양한 경력의 약사들이 포함됐다.

서울대병원 조윤숙 약제부장은 “병원으로서는 공석이 있는 상황에서 운영하다보니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병원에 남은 약사들도 고생을 했다”며 “그래도 국가가 하는 일에 적극 돕는 것이 서울대병원의 역할이자, 약사로서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조윤숙 부장은 “의료진들도 모두 지원을 나갔지만, 그중 약의 전문가인 약사가 활동을 했다는 것은 마땅한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며 “인류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서울대병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있어서 약사들이 좀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올림픽 강릉 폴로클리닉 파견근무에 참여한 약사는 ▲서울대병원 김은진, 문미라, 백수정, 이현아 약사 ▲분당 서울대병원 오유진, 김보람 약사 ▲서울대 보라매병원 유미현 약사 등 총 7명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