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11월 15일, 16일 이틀간 ‘기술이전 가속화 심포지엄’ 및 ‘2017 R&D 워크숍’을 각각 개최한다.
15일(수)에 개최되는 ‘기술이전 가속화 심포지엄’은 해외 사업개발 전문가들을 초청해 글로벌 기술이전의 구체적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소는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 서울 그랜드 볼룸이다.
심포지엄의 오전 행사는 해외 라이센싱 전문가들의 주제별 코칭 중심의 발표와 질의응답 세션으로 진행된다.
▲카오루 스즈키 일본 로슈(Roche) 한·일 사업개발 총괄의 ‘바이사이드 관점에서의 라이센싱 약물 선택 기준’ ▲번 준더만 프레지니우스카비 온콜로지(Fresenius Kabi Oncology) 파이프라인 포트폴리오 담당 임원의 ‘제약 기업의 미래와 소규모 혁신가들의 역할 : 어떻게 협업할 것인가?’ ▲프랭크 그램스 사노피(Sanofi) 글로벌 얼라이언스 관리 총괄 부사장의 ‘성공적인 라이센싱 딜의 핵심 성공 요소들’ ▲조나단 왕 오비메드(Orbimed) 이사의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의 투자 유치 방법’ 등의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어 16일(목) 양재동 엘타워 매리골드홀에서는 국내 신약개발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2017 R&D 워크숍’이 열린다.
이번 워크숍은 글로벌 신약개발 성공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는데, 올해 행사는 발표 및 포스터 세션으로 구분돼 운영될 예정이다.
발표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김성천 CSO(연구개발본부장)의 ‘KDDF 사업 소개 및 향후 운영 방안’을 시작으로 ▲현병화 전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실험동물센터 센터장의 ‘성공적인 실험동물 모델 수립 및 활용 전략’ ▲곽상훈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이사의 ‘신약개발에 있어서 벤처캐피탈의 역할’ ▲나득채 이화여대 목동병원 교수의 ‘PDX 인간화 마우스 모델기반 항암신약 전임상 플랫폼 활용’ ▲지동현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이사장의 ‘성공적 임상개발을 위한 가이드-ACT’ 등으로 구성된다.
이후, 포스터 세션에서는 사업단 지원 과제 중 면역항암, 중추신경계, 대사성 질환 등 7개 질환에 대한 28개의 과제가 소개될 예정이다.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과제의 연구책임자가 직접 참여해 연구 현황을 공유하고,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은 “기술이전 가속화 심포지엄 및 2017 R&D 워크숍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국내 연구 성과들이 글로벌 신약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이번 행사가 성공적인 글로벌 기술이전을 위한 정보 공유 및 협력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기술이전 심포지엄 및 2017 R&D 워크숍 참가신청은 무료이며, 상세 내용 및 참가 안내는 사업단 홈페이지(www.kddf.org)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