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약기업 밀란(Mylan)이 급성 알레르기 치료제 에피펜(EpiPen)과 관련해 정부에 과도한 비용을 떠안게 한 혐의에 대해 4억6500만 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밀란은 에피펜을 2007년에 매입한 이후 가격을 100달러에서 600달러까지 인상시킨 것이 밝혀지면서 작년에 거센 비판을 받았으며 미국 내에서 처방의약품들의 높은 가격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밀란은 약 300달러에 제네릭 제품을 발매했으며 작년 10월 미국 법무부와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밀란은 미국 법무부와 합의에 도달한 지 10개월 만에 지불할 금액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밀란이 에피펜을 브랜드 제품처럼 판매하고 가격을 책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에서는 제네릭 제품으로 분류해 주정부에 납부할 리베이트를 줄였다는 혐의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밀란 측은 이 합의가 범법행위를 저질렀다고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전했다. 앞서 밀란은 올해 4월 1일부터 에피펜을 재분류하고 새로운 분류에 맞는 리베이트를 지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밀란의 헤더 브레쉬 최고경영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밀란과 자사의 주주들에게 옳은 행동이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이번 합의는 2016년에 경쟁사인 사노피가 이 문제를 당국에 제기한 지 2년 만에 부당청구법 위반 소송을 제기한데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사노피는 이전에 경쟁제품인 아우비큐(Auvi-Q)라는 경쟁제품을 판매했었다. 사노피는 밀란과 당국의 합의에 따라 3880만 달러를 보상금으로 받게 된다.
사노피 측은 이 문제를 고발한 것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이었다고 밝혔다. 현재 사노피는 밀란이 에피펜에 대한 경쟁을 막기 위해 불법행위를 저질렀다고 문제를 제기하는 별도의 반독점소송을 진행 중이다.
밀란이 미국 정부에 합의금 지불을 결정하기는 했지만 지난 5월에 공개된 미국 보건복지부 감찰국 분석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에피펜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과도하게 부담한 금액이 약 12억70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에 처벌이 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공화당 척 그래슬리 상원의원은 납세자들을 위해 반환해야 할 금액에 미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미국 내에서 제약업계에 대한 약가 인하 압박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제약업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당분간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