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0 06:03 (토)
단계적 전략 없는 약국의 미래는 어둡다
상태바
단계적 전략 없는 약국의 미래는 어둡다
  • 의약뉴스 정흥준 기자
  • 승인 2017.05.29 06: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사미래발전연구원 심포...교육 개선·정부 지원 촉구

대한약사회 약사미래발전연구원의 제2차 심포지엄에서 구체적·체계적 전략이 없다면 변화하는 보건의료환경에서 약국은 어려움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어제(28일) 대한약사회관에서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미래약국의 역할’을 주제로 개최된 심포지엄에는 정부, 학계, 소비자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의견을 주고 받았다. 

대한약사회 이광섭 약사미래발전연구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작년 11월 1차 심포지엄에서 변화하는 보건의료환경 흐름에 맞춰 미래 약사직능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한 바 있다”며 “오늘은 약사직능 가운데 가장 많은 인력이 분포하고 있는 약국약사에 대한 방향성과 발전방안을 고민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전했다.

 

또 이광섭 원장은 “임상약학이 도입된지 오래됐지만 학교 교육에서는 10%밖에 되지 않고 있고, 1인 약국에서는 관련 공부를 하는데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조찬휘 회장도 격려사에서 “약학대학의 커리큘럼이 크게 변하지 않고 정체돼 있는 것을 느끼고 있다”며 “임상약학과 사회약학 교수들이 선두에 서서 이끌어나가야 하는 시점인데 그것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 회장은 “교수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같은 이유 때문에 약평원은 대한약사회가 운영하는게 맞다”며 “교수들이 약학대학원을 평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약국이 지역사회 서비스로의 역할 확대를 이루기 위해선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노원구약사회 성기현 부회장은 “약학교육에서 지역약국이 무슨 역할을 해야되는지에 대한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다”면서 “수요자들과의 소통과 관련된 교육과정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 선진제도 도입, 국내 약국의 현실 반영해야  
약국분과위원회 이의경 성균관대 교수는 ‘국민과 함께하는 약국약료의 비전과 발전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약사의 미래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이 함께 언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17 한국직업전망에서 향후 10년간 약사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대체로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는 것. 

이와 관련 영국, 호주 등은 각각 2008, 2010년을 기점으로 처방 조제에서 임상 서비스 제공으로 약사의 역할을 전환하고 있는 상황이다. 

▲ 약국분과위원회 이의경 성균관대 교수.

이 교수는 “반면 국내 약국의 매출은 처방조제가 83%를 차지하고 있다”며 “조제의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를 제고하는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비스의 제고는 약국내 건강서비스를 넘어서서 학교 및 요양시설의 약물관리, 가정보관의약품 검토 등 지역사회 서비스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구체적으로는 만성질환관리를 위한 미국의 MTM제도 등을 도입하는 것이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있다.

이 교수는 “MTM 도입을 위해 표준 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등 약사회의 주도적 시범사업 운영으로 정부의 사업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약국학회 방준석 수석부회장은 “MTM제도는 상당히 고도화된 미국의 상황에 맞춰진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 도입하기 위해선 실행단계를 세부적으로 나눠서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국내 적용을 위한 과정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편 복약상담의 활성화 서비스 제고 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가 조정 등 정부의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 임진형 회장은 “약국에 아무런 지원도 없는 현실에서 복약상담 및 지도 수준을 높이라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노원구약사회 성기현 부회장도 “1인 약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2인 이상 약국의 수지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이라며 “조제행위에 대한 수가만 책정되는 상황에서 복약상담의 활성화는 쉽지않은 문제”라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 윤병철 약무정책과장은 “복약상담에 따른 차등 지원 등은 약사사회에서는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겠지만 소비자들에게는 공감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며 “이에 대한 설득이 중요하기 때문에 약사계에서도 이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단체인 녹색건강연대 이주열 대표도 “약국 서비스 제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아직 구체화 체계화 등이 부족해보인다”며 “자칫 약사 중심의 사업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소비자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