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한의과대학장협, 일반인 침뜸 교육 허락한 대법원 판결 규탄
상태바
한의과대학장협, 일반인 침뜸 교육 허락한 대법원 판결 규탄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6.09.08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는 최근 일반인에게 침·뜸 교육의 길을 터준 대법원의 판결과 관련,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이에 대해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이번 판결이 불법무면허로 인해 국민들이 입을 피해와 그로 인한 위험성에 대해 대법원은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것일 뿐 아니라 한방의료행위를 한의사에만 허용해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려는 의료법을 무색하게 했다고 꼬집었다.

나아가 이번 판결이 불법무면허 의료인을 양산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번 판결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이번 판결의 심각성은 절대 간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협의회는 "국가 100년 대계의 원칙을 기반으로 국민건강을 담당할 의료인양성과 한의학교육체계 정립의 의무가 있는 우리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는 평생교육시설에서 침과 뜸 교육이 가능하다는 대법원 판결에 재고를 촉구하며 불법무면허의료행위로 인한 국민들의 피해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사법부에서 현명한 판단을 내릴 것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한의과대학장협의회의 성명서 전문.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 성명서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불법무면허의료행위 근절을 위한


사법부의 판결을 촉구한다!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는 최근 일반인에게 침·뜸 교육을 허용한 대법원 판결에 큰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불법무면허의료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것은 선량한 국민들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법부의 무책임한 판결을 강력히 규탄한다!


지난 7월 22일, 대법원은 평생교육시설에서의 일반인 대상 침·뜸 교육이 가능하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불법무면허의료로 인해 최대 사망까지 이르는 등 피해를 입는 국민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무면허로 인해 국민들이 입을 피해와 그로 인한 위험성에 대해 대법원은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의료법에 따르면 침·뜸 치료는 한의사만이 시행할 수 있는 ‘한방의료행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이번 판결을 통해 한의사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한방의료행위인 침·뜸 교육 및 실습을 허용했다.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의료법 제정이 무색하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이번 판결이 불법무면허의료자체를 허용한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침과 뜸을 교육하는 것에 사전 제재가 어렵다는 의미이지만, 교육 중 실습을 통해 무면허자의 침·뜸 시술은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이번 판결이 불법무면허 의료인을 양산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이번 판결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이번 판결의 심각성은 절대 간과할 수 없다.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한의사는 해부학, 발생학, 조직학, 기초과학, 생화학, 미생물학, 약리학, 예방의학, 통계학, 의학윤리, 생리학, 병리학, 진단학, 영상의학, 진단검사의학, 임상심리학, 임상각과실습, 응급의학, 법의학, 의료법규의 교과목을 전문 교수의 지도하에 필수과목으로 교육하며 이를 이수한 후에 한의사국가고시를 거쳐 한의사 면허를 부여받고 있다. 즉, 체계적인 한의과대학교육을 수료하고 국가 면허 시험에 합격해 국가에서 의료인의 면허를 부여 받은 자만이 한방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어디가 아플 때 어느 부위에 뜸을 뜨고 침을 놓으면 치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우선이 되어야 침·뜸 치료로 인한 내부 장기 및 조직의 손상 및 감염 등의 피해를 피할 수 있다. 국가에서 자격 있는 의료인에게 면허를 부여한 것도 무분별한 불법무면허 의료행위와 이로 인한 의료 사고를 막기 위한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번 대법원의 판결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보다는 의료행위의 근거가 되는 의료법을 간과하고 불법무면허의료행위 양산을 조장하는 데에 근거를 마련해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국가 100년 대계의 원칙을 기반으로 국민건강을 담당할 의료인양성과 한의학교육체계 정립의 의무가 있는 우리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 는 평생교육시설에서 침과 뜸 교육이 가능하다는 대법원 판결에 재고를 촉구하며 불법무면허의료행위로 인한 국민들의 피해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사법부에서 현명한 판단을 내릴 것을 천명한다. 끝.

 

2016. 9. 8.


한국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