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9 17:22 (금)
‘귀의 날’ 50주년, 국민 ‘귀 건강’ 현주소는
상태바
‘귀의 날’ 50주년, 국민 ‘귀 건강’ 현주소는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6.08.26 0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소년 소음성 난청 노출...노인은 ‘보청기’ 지원 절실
 

 “보청기지 지원은 도움이 되는 사람에게 이뤄져야 한다.”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한 ‘귀의 날(9월 9일)’을 기념해 대한이과학회가 25일, 대한이비인후과학회와 대한이비인후과 개원의사회, 대한청각학회의 후원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귀건강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공청회를 개최했다.

‘2016년 우리나라 귀건강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공청회에서 학회는 실상에 비해 지나치게 과소평가되고 있는 난청 유병률의 현실을 되짚고, 인생 전주기에 걸쳐 반드시 필요한 난청 관리 중에서도 청소년기의 소음성 난청 예방과 노인성 난청의 재활에 대한 현실을 조명했다.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 난청의 현주소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대한이과학회 조양선 차기 회장(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은 “난청은 영향은 TV볼륨 증가와 같은 작은 불편에서 시작해 의사소통 부재, 대인관계악화, 사회적 고립, 우울증, 피로도 증가 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그는 “난청으로 인해 뇌가 충분히 자극받지 못해 치매에도 영향을 준다”면서 “경도난청의 경우 2배, 고도난청은 5배로 치매 발병률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양측 귀 모두 40데시벨 이상의 청력저하가 있는 난청의 유병률은 4.45%, 양측귀 모두 25데시벨 이상의 청력저하가 있는 경도난청은 13.42%정도로, 나이가 들수록 크게 높아지는데, 65대가 되면 각각의 유병률이 11.9%와 39.2%로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 같은 난청은 흡연이나 소음 노출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데, 뇌졸중이나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회활동을 제약하는 만큼 우울증과 스트레스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재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만 12세 이상, 중등도 이상 난청 대상자 중 보청기나 인공와우를 사용하는 경우는 12.5%에 그치고 있다”며 “보청기가 비싸고, 보청기를 사용하면 장애가 있다는 낙인효과와, 실제 효과가 크지 않다는 이해부족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다음으로 대한이과학회 박상호 학술이사(신사 호 이비인후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귀는 과연 건강한가?’를 주제로, 각종 휴대용 음향기기로 인해 소음성 난청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현실을 조명했다.

특히 그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청소년 소음성 난청의 유병률은 0.3%,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학교 검진에서는 0.47%, 심평원 청구자료 기준으로는 0.01%에 불과한데, 실제 서울시내 소재 고등학생 및 대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청력검사가 요구되는 자각증상을 경험한 겨우가 25%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미국에서는 12~19세 청소년들의 소음성 난청 유병률이 16.8%로 집계되기도 했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공식적인 유병률로는 청소년들의 귀 건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학교 검진이 방음시설도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 단일 주파수 영역만으로 진행되고 있어 제대로된 검사가 되지 않고, 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귓병에 대해서는 검사가 불가능해 제대로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유병률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다.

심평원의 청구자료 역시 최근 청소년의 소음성 난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료 자체가 의료기관을 내원해 확진된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로, 난청 초기로 지속적인 자각증상이 없어서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은 환자들은 제외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박 이사는 “유병률 지표로는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위험징후가 심각하다”면서 “청소년기는 성인보다 더 작은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시기인 만큼, 성인들에게 적용하는 일반적인 기준이 아니라 보다 예민한 진단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학교 검진이 부실하다보니 난청이 진행되어 비가역적 상황이 된 후에야 병원을 찾는다”며 “무증상 환자가 많은 만큼, 조기 발견을 통해 진행을 방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특정 학년 전체에 대한 정기적인 청력검진이 필요하며, 예민한 진단기준을 사용해야 하고, 여러 가지 주파수의 검사가 필요하다”면서 “방음부스도 필요하고, 귓병을 진단할 수 있는 고막검진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다음으로 대한이과학회 채성원 공보이사(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는 ‘100세 시대, 점점 심각해질 노화성 난청에 대한 준비’를 주제로 보청기가 필요함에도 사용률이 떨어지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는 “고령화로 노화성 난청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청소넌의 소음성 난청은 예방이 가능하고 필요하지만, 노화성 난청은 피할 수 없는 만큼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2012년 조사 결과, 65세이상 노령자 중 30.6%, 약 598만명이 40데시벨 이상의 난청 환자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9.5%, 약 56만 8000명 정도는 보청기가 필요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그는, 정부의 보청기 지원 정책이 난청의 정도가 아니라 청각장애 등급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보청기를 통해 청각재활이 가능한 40데시벨에서 70데시벨 사이의 고도난청 환자중 장애등급 6급 기준인 60데시벨 이상의 환자만 정부 지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40데시벨 이상 난청 환자들은 생활이 제약이 따르는 데, 40~60데시벨 사이의 환자들은 보청기를 통해 정상생활이 가능함에도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지적으로, 이 인구가 40만명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고가의 보청기에 대한 가격부담과 과거 질이 좋지 않던 보청기로 인한 부정적 인식, 보청기 착용에 대한 낙인효과 등으로 보청기 사용률이 떨어진다는 것.

이와 관련, 대한이과학회 오승하 회장(사진)은 “보청기나 안경이나 다를 것이 없는 데 안경을 쓰는것에는 뭐라 하지 않으면서 보청기에만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청기는 기술집약적인 장비로 청력검사가 필요하고 주파수나 증폭 등을 잘 맞춰야 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상담이 필요하지만, 그렇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의료기기상 등을 통해 마구잡이식으로 판매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나아가 “장애등급을 기준으로 보청기를 지원하고 있는데, 장애등급이 높은 사람들 중에 보청기가 도움이 되지 않는 분들이 많고, 장애등급은 낮지만 보청기를 통해 재활 가능한 분들이 많다”며 “단순히 많이 주고 베푸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제대로 필요한 사람에게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